이재명 "유승민 '매표행위'? 대통령·국민 모독한 것"

탁지영 기자 2021. 2. 20. 16: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재명 경기도지사 페이스북 캡처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유승민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재난지원금을 ‘매표행위’라 선동하며 국민을 ‘돈 뿌리면 표 주는’ 원시 유권자로 모독했다”고 비판했다.

이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에 대한 상식 밖의 모독이자 국민의 높은 주권의식에 대한 폄훼”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유 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코로나에서 벗어날 상황이 되면 국민 위로 지원금, 국민 사기 진작용 지원금 지급을 검토할 수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에 “대통령 개인 돈이라도 이렇게 흥청망청 쓸 수 있을까. 이러니 선거를 앞둔 매표행위라는 얘기를 듣는 것이다”라고 쓴 바 있다.

이 지사는 “조사에 따르면 주요 10개국 중 코로나와 관련한 국민적 스트레스가 두번째로 큰 곳이 대한민국이라고 한다”며 “국민들께선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희생과 고통을 감수하면서도 전 세계 어떤 국가보다도 지원을 크게 받지 못한다”고 했다.

이 지사는 “코로나19로 세계 주요국들은 이미 GDP 대비 110%의 국가부채를 지고 있음에도 평균 GDP 13%에 이르는 막대한 적자재정지출을 감수하며 국민을 지원했다. 그러나 우리는 보수야당에 막혀 경제지원용 재정지출을 위해 겨우 GDP의 3%의 적자를 감수했을 뿐이다”라며 “국민의힘 정치인들은 재정 지출을 조금만 늘려도 마치 나라가 망할 것처럼 호들갑을 떨고 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코로나로 민생과 경제가 벼랑 끝에 서 있는 지금은 가계소득 지원과 소비진작에 따른 경제활성화, 고용 유지, 사회안전망 확대를 위해 적극적이고 전례 없는 확장 재정정책이 필요한 시대”라고 했다.

이 지사는 “가계 소득 지원을 통한 소비 진작이 필요한 이유는 기술혁명과 디지털 경제의 급속한 진전으로 공급 역량은 무한 증가하는 데 반해 일자리는 축소돼 노동 소득이 중심인 가계의 소비역량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상위 0.1%가 부의 절반 이상을 독차지하는 상황에서 수요 공급 균형을 통한 자본주의 경제의 선순환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수요 부족으로 투자할 곳은 없고 투자할 돈이 남아 낡은 금고에 쌓이기만 하는 유휴자금을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통해 국민경제 순환 사이클로 주입시켜야 한다. 고삐를 조이는 게 아니라 빗장을 열어야 할 때”라고 했다.

탁지영 기자 g0g0@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