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이름을 물었네[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28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예전에는 가정이 출발점이라고 했다.
가정이 모여 공동체가 되고, 공동체가 모여서 세계가 된다고.
그러니까 가정은 씨앗 같은 거였다.
지금은 가정이 출발점이 아니라 마지막 보루가 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가정이 출발점이라고 했다. 가정이 모여 공동체가 되고, 공동체가 모여서 세계가 된다고. 그러니까 가정은 씨앗 같은 거였다. 그걸 통해 우리는 멀리 나아가는 꿈을 꿨다. 멀리 갔다가 너무 힘들면 돌아오는 꿈도 꿨다.
지금은 가정이 출발점이 아니라 마지막 보루가 되었다. 심정적으로 여기 말고 안전한 울타리는 없는 것 같다. 가정마저 무너지면 더 내어줄 땅도 없다. 그래서 가족이 가족을 해쳤다는 뉴스를 보면 더없이 분노하게 된다. 엄마가 자식을, 자식이 노모를 때리고 죽였다는 소식을 들으면 잠을 잊게 된다. 코로나를 피해 다들 동굴 같은 집으로 파고드는데 이곳마저 믿을 수 없다면 우리는 어디에 의지해야 하나.
집은 동굴이 되고 마음마저 동굴처럼 어두워지는 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등불이다. 때로 등불은 켜는 것이 아니라 심어지는 것. 그래서 오늘은 마음의 등불을 심어주는 시를 소개하고 싶다. 지금은 너무나 어려운 때니까. 소중한 것이 사라지는 때니까. 반대로 단단하고 소중한 마음을 꽃씨처럼 심어 보자. 시에서 아들은 꽃 이름을 물었는데 엄마는 사랑한다고 대답했다. 사랑을 먹고 컸어도 ‘지문을 다 갈아엎고 싶던’ 힘든 날은 찾아왔다. 그럴 때 아들을 지탱해 준 것은, 꽃 같은 사랑만 준 어머니의 기억이었다.
짧은 겨울해가 지고, 봄은 남몰래 다가온다. 봄을 기다리는 우리는 누구에게 꽃이었던 적이 있을까. 과연 우리 마음에는 누구의 꽃이 잠들어 있을까.
나민애 문학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신현수, 박범계 감찰 요구했었다”
- [단독]신현수 “살면서 박범계 볼일 없다… 생각했던 것과 달라 힘들어”
- 법무부 ‘檢중간간부 인사안’, 윤석열 측과 이견
- 패싱에는 직(職) 던진다…‘대통령 그림자’ 거부한 신현수
- 신현수 사태에…금태섭 “이성윤 지키기, 文대통령 뜻인가”
- 김명수 “부주의한 답변에 사과” 사퇴는 거부
- 5억km ‘인내’의 여행끝 화성 안착… 생명 흔적 찾을 흙 담는다
- 文대통령 “온국민 으쌰으쌰 사기진작 지원금”… 野 “또 생색내기”
- ‘여야 공감’ 속도 내는 가덕도특별법… 민주 “26일 본회의 처리”
- 선거때면 흔드는 ‘가덕도 꽃놀이패’… 부울경 ‘희망고문 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