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백기완 선생 발인..시민·노동자 수백명 추모

김세정 2021. 2. 19.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의 발인식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됐다.

유족과 추모객 수백 명이 백 소장의 마지막 가는 길을 함께 했다.

추위에도 장례식장 앞에는 백 소장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려는 시민과 노동계 인사들이 1백여 명이 모였다.

운구차는 8시25분께 장례식장 정문을 나와 백 소장이 설립한 대학로 통일문제연구소로 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발인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된 가운데 유가족과 관계자들이 고인의 영정을 모시고 이동하고 있다. /이동률 기자

서울광장서 영결식 뒤 마석 모란공원 하관

[더팩트ㅣ김세정 기자]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의 발인식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됐다. 유족과 추모객 수백 명이 백 소장의 마지막 가는 길을 함께 했다.

이날 오전 7시께부터 백 소장의 빈소가 마련된 장례식장 3층은 조문객들로 가득 찼다. 조문객들은 모두 '남김없이'라고 적힌 근조 리본을 가슴에 달았다. 문정현 신부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등 각계 인사도 자리를 지켰다.

오전 8시께 발인이 시작되자 장례식장에서는 울음 소리가 흘러나왔다. 유족들은 백 소장의 영정에 큰절을 올렸다. 아들 백일 씨는 "안녕히 가세요"라며 오열하기도 했다. LG트윈타워 노동자와 코레일 네트웍스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 등 8명이 백 소장을 운구했다.

추위에도 장례식장 앞에는 백 소장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려는 시민과 노동계 인사들이 1백여 명이 모였다. 오전 8시20분께 운구차가 지상으로 올라오자 추모객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목놓아 불렀다. 딸 백원담 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 교수는 눈물을 흘렸다.

운구차는 8시25분께 장례식장 정문을 나와 백 소장이 설립한 대학로 통일문제연구소로 향했다. 풍물단이 운구행렬을 이끌었다. 연구소를 거친 운구차는 천천히 노제 장소에 도착했다. 300여 명이 참석한 노제는 9시55분께 끝났다.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서 출발한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의 운구행렬이 노제가 열리는 대학로로 이동하고 있다. /이동률 기자

운구행렬은 이화사거리와 종로5가, 종각역 사거리, 세종로 사거리를 거쳐 영결식이 열리는 서울광장으로 향했다. 1시간30분간 영결식을 한 뒤 경기 남양주 마석 모란공원으로 이동해 오후 2시께 하관식과 평토제를 열 예정이다.

폐렴으로 투병생활을 하던 백 소장은 지난 15일 서울대병원에서 별세했다. 1933년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나 1950년대부터 통일·민주화운동에 매진했다. 1964년에는 한일협정 반대운동에 참가했고, 1967년에 고 장준하 선생과 함께 통일문제연구소의 모태인 '백범사상연구소' 설립을 시도했다.

1974년에는 유신헌법 철폐 100만인 서명운동을 주도하다 긴급조치 위반 혐의로 옥살이를 했다. 1979년 'YMCA 위장결혼 사건'으로 고문을 당한 뒤 구속됐다. 이후 1986년에 '권인숙 성고문 사건 진상 폭로대회'를 주도한 혐의로 다시 옥고를 치렀다.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중후보로 출마했다가 김영삼·김대중 후보의 단일화를 호소하며 사퇴했고, 1992년에도 다시 대선에 출마했다. 이후에는 자신이 설립한 통일문제연구소에서 노동문제와 통일문제 등에 힘써왔다.

백 소장은 '장산곶매 이야기' 등의 저서를 낸 문필가이자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 원작자이기도 하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정숙 씨와 딸 백원담 교수, 미담, 현담 씨와 아들 백일 울산과학대 교수가 있다.

sejungkim@tf.co.kr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