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에 호통치던 참어른"..'백기완 정신' 되새긴 시민들 애도 물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6년 촛불집회 현장에서 멀리서나마 선생님을 지켜봤습니다. 민중운동의 큰 선생님 한분이 가셨으니 만나서 찾아뵙는 게 예의라고 생각했어요."
백기완 선생(통일문제연구소 소장)이 영면에 든 지 넷째 날인 18일 오전, 빈소가 마련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을 찾은 이무열(26)씨는 "선생님을 직접 알진 못하지만, 학생운동을 하셨던 아버지로부터 백기완 선생님이 우리나라에 기여한 바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인 모습 추억하며 빈소 찾아
“2016년 촛불집회 현장에서 멀리서나마 선생님을 지켜봤습니다. 민중운동의 큰 선생님 한분이 가셨으니 만나서 찾아뵙는 게 예의라고 생각했어요.”
백기완 선생(통일문제연구소 소장)이 영면에 든 지 넷째 날인 18일 오전, 빈소가 마련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을 찾은 이무열(26)씨는 “선생님을 직접 알진 못하지만, 학생운동을 하셨던 아버지로부터 백기완 선생님이 우리나라에 기여한 바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고 했다.
장례식장을 찾은 시민들은 한평생 약자 편에서 권력자에게 쓴소리를 멈추지 않았던 ‘백기완 정신’을 기리고 싶어 빈소를 찾았다고 입을 모았다. 나이와 성별, 직업은 달랐지만 각자 기억하고 있는 선생의 모습을 추억하며 애도의 뜻을 전했다.
20~30대 조문객은 거리에서 ‘사자후’를 토하던 선생의 모습이 인상 깊었다고 했다. 박아무개(30)씨는 “대학생 때 노동자집회 현장에서 선생님을 처음 봤는데, 당시의 목소리와 발언이 잊히지 않는다. 끝까지 변치 않고 사회적 약자를 위해 한평생 살다 가신 고인의 모습이 정말 존경스럽다”고 말했다. 직장인 김한주(30)씨도 “힘 있는 사람들에게 호통을 치던 고인의 모습이 생각난다. 이제는 남은 사람들이 그 뜻을 이어받아야 한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들에게 선생은 과거에 매여 훈계만 늘어놓는 ‘꼰대’가 아니라, 행동하는 ‘백발 청년’이었던 셈이다.
빈소엔 젊은 시절 선생의 말과 행동에 큰 영향을 받았던 중장년층이 줄을 이었다. 직장인 인창혁(57)씨는 “1986년 대학 시절 대동제 기간에 선생님께서 총학생회 추천 연사로 오셔서 했던 말씀들을 기억한다. 그 뒤로 존경심을 가지고 한 시민으로서 응원해왔는데 이제는 편히 쉬셨으면 좋겠다”며 눈물을 글썽였다. 20대 딸과 함께 빈소를 찾은 신정혜(53)씨도 “개인적인 인연은 없지만 제가 다녔던 노동자대학에서 백 선생님의 연설을 감명 깊게 들었던 기억이 난다. 세월이 흘러도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일관된 삶의 방향을 추구한 분의 가시는 길에 인사를 드리고 싶었다”고 했다.
이날 낮 12시부터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도 시민분향소가 설치되면서 추모 행렬이 이어졌다. 분향소 안 영정사진에 헌화하던 김혜수(57)씨는 “시청 근처 식당에서 일하는데 분향소가 생긴 걸 보고 인사드리러 왔다”며 “직접 인연은 없지만 1987년 박종철 열사 장례식에서 선생님을 봤던 기억이 난다. 철거민과 노동자 등 사회 약자들의 싸움터에 행동으로 나서주시는 모습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고 말했다. 경기도 용인에서 온 이용수(56)씨는 “30여년 가까이 교육 현장이나 집회 현장에서 백 선생님을 만나왔고 선생님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며 “선생님을 통일운동가이자 평화운동가로 기억한다. 우리 사회의 큰 별이 진 느낌”이라고 아쉬워했다.
온라인 추모관에도 추모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한 시민은 “우리 시대 참어른 선생님을 추모한다. 마음이 먹먹하다”는 글을 올렸다. 또 다른 시민은 “80년대 군사독재를 꾸짖던 기억에서 촛불집회까지 기억이 난다”고 적었다. 이날까지 온라인 추모관에는 400여개의 추모글이 올라왔다.
백 선생의 추모 열기는 나라 밖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백기완 선생님의 뜻을 이어가는 해외동포들’은 오는 20일 토요일 오전 10시(한국시각)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에서 추모식을 연다.
장필수 강재구 기자 fee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권력에 호통치던 참어른”…‘백기완 정신’ 되새긴 시민들 애도 물결
- 이번엔 유성매직X탄산수…편의점 ‘상식파괴 콜라보’, 어디까지 갈까?
- 젊은 창업가들 통큰 기부, ‘대물림 집착’ 재벌과 비교되네
- 문 대통령 딸 다혜씨, 아들 특혜진료 주장 곽상도 의원 고소
- 법사위 ‘신현수 사의표명’ 질의 덮은 ‘이용구 꾀병 논란’
- 지난해 이마트 웃고, 신세계 울었다…1년새 정반대된 ‘남매’의 성적표
- 검찰, ‘라임펀드’ 관련 금감원 압수수색
- 민주당 부대변인, 국민의힘에 “1년짜리 후보가 생지랄 공약”
- 미국 강타한 한파는 북극 한기 가둔 제트기류 뚫려서 발생
- SNS 모니터링 해보니…성적 촬영물 피해자의 43%가 아동·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