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논쟁]커지는 인플레 우려..위험자산 빨간불

최정희 2021. 2. 18.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 세대 내에서 경험한 적 없는 종류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나타날 것"이라며 1조9000억달러의 경기부양책을 추진하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에 경종을 울린 래리 서머스 전 재무부 장관의 말이 맞을까.

아니면 "미국은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처하는 도구를 갖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이랑 자주 싸워봐서 잘 안다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출신의 첫 여성 재무장관 재닛 옐런 말의 맞을까.

인플레이션 우려로 국채 금리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10년물 금리 1.3% 돌파..1년래 최고치
'자꾸 떠오르는' 서머스의 '인플레' 경종
美 생산자 물가 1.3% 올라..역대 최대 상승
국채 금리 오를 때마다 움찔하는 증시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9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구리값, 60달러를 훌쩍 넘겨버린 국제 유가 등...

“한 세대 내에서 경험한 적 없는 종류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나타날 것”이라며 1조9000억달러의 경기부양책을 추진하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에 경종을 울린 래리 서머스 전 재무부 장관의 말이 맞을까. 아니면 “미국은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처하는 도구를 갖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이랑 자주 싸워봐서 잘 안다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출신의 첫 여성 재무장관 재닛 옐런 말의 맞을까.

(출처: 마켓포인트, 세인트루이스연방준비은행)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도, 작년 코로나19때에도 늘상 구조적인 저물가, 디플레이션(Deflation·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만 걱정하다가 올 들어선 인플레이션 우려가 서서히 커지고 있다. 세인트루이스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미국의 향후 10년간 평균 물가상승률 기대치를 보여주는 10년물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16일(현지시간) 2.24%까지 올라 2014년 8월 11일(2.25%) 이후 6년 6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 3월 0.50% 수준에서 빠르게 반등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작년 마이너스 유가 등을 고려하면 기저효과만 따져도 인플레이션율이 올라갈 수밖에 없는 구조다.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보다 1.3% 올라 2009년 12월 통계 산출 이후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 역시 유가 상승 등에 1월 수출과 수입물가가 전월보다 각각 1.8%, 2.8% 상승,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고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 하반기에는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물가상승률이 상반기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유례 없는 규모의 경기 부양책이 실시된 만큼 그 많은 돈이 어떤 종류의 인플레이션으로 나타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래리 서머스는 “2009년 금융위기 당시의 경기부양책은 월평균 약 300~400달러 규모로 아웃풋 갭(output gap·잠재성장률과 실질 성장률의 차이)의 절반 정도 수준이나 코로나 부양책은 아웃풋 갭 대비 금융위기의 6배 수준이라 감당하기 어려운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런 우려를 가장 격렬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곳은 금융시장이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17일(현지시간) 장중 1.332%까지 치솟았다. 작년 2월 26일(종가 1.333%) 이후 1년래 최고치다. 인플레이션 우려로 국채 금리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문제는 국채 금리 상승이 주식 등 위험자산엔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특히 국채 금리 상승이 경기회복보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것이라면 예상보다 빨리 연준의 정책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이 ‘계속해서 돈을 풀 것’이라고 말하는 연준의 말보다 인플레이션에 더 크게 반응하는 이유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10년물 국채 금리가 1.75~2.0%에 접근할 경우 위험자산에 상당한 역풍이 될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해외 투자은행(IB)들은 연말께 10년물 금리가 1.3~1.75%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금리 상승이 주식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날이 그리 멀지 않았단 얘기다. 최근 금융시장은 이런 가능성의 전초전 양상을 띠고 있다. 스탠다드앤드(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지난 16일 이후 2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코스피 지수 역시 17일 이후 2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18일엔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모두 1% 넘게 하락했다.

최정희 (jhid020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