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눈동자, 한 개의 렌즈..영원한 순간을 담다

김희경 2021. 2. 18.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over Story
취미로 시작해 사진작가 된 3人

반짝반짝 밤하늘을 수놓은 별을 따고, 넓고 따뜻한 바다의 속살을 꺼내어 볼 수 있을까.
불가능한 일처럼 보이지만 이를 실현하는 사람들이 있다. 카메라 렌즈에 그 아름다움을 담아내는 사진작가들이다.
이들은 가깝게는 일상을, 멀게는 별과 바다까지 응시하고 탐닉한다. 사진을 전공하고 그 길을 쭉 걸어온 사람들만의 얘기가 아니다.
40~60대인 백승우·최혜원·권오철 작가는 취미로 사진을 시작했다가 그 심오한 세계에 빠져 작가가 됐다.
이들의 이야기를 듣노라면 첫발을 내디딜 용기가 생길 듯하다.

 호텔 상무 백승우, 직장 풍경을 예술로

‘The Window’ 시리즈

직장을 다니며 사진작가가 되는 것은 꽤 어려운 일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백승우 작가(63)는 그랜드하얏트서울 상무로 일하면서 사진작가로도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부업이라고 해서 ‘아마추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그는 2007년부터 8회의 개인전을 열어 이름을 알렸다. 백 작가는 “직장인이라도 주말과 휴가를 이용해 틈틈이 익힐 수 있다”며 “자신의 관점만 갖는다면 누구나 좋은 작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제학을 전공하고 호텔에서 근무하던 그는 2002년 우연히 지인들의 추천을 받아 사진을 시작했다. 백 작가의 작업은 자신의 근무지인 호텔에서 시작됐다. 호텔 창에서 본 안과 바깥 세상을 카메라에 담아 ‘The Window 시리즈’를 선보이고 있다. “작가는 자신의 내면부터 바라봐야 해요. 이를 위해 제가 가장 오랜 시간 머무는 호텔부터 카메라로 비췄죠.”

그의 작품 세계는 다양하게 확장됐다. 고궁 등 한국 문화유산을 찍어 2015년 ‘마이코리아’ 책자를 발간했다. 최근엔 초심으로 돌아가 자신의 내면을 더 깊이 들여다보고 있다. “사진을 잘 찍는 사람은 많아요. 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잘 전달하는 사람은 많지 않죠. 제 감정을 담아내는 작품 활동을 하고 싶습니다.”

 최혜원, 의사 가운 벗고 니모를 찾아

‘바다정원’

“나 스스로를 즐겁게 해줘야 한다. 그 즐거움은 그냥 찾아오지 않는다. 노력해서 얻어야 한다.”

정신과 의사인 최혜원 작가(55)는 환자들에게 이런 말을 자주 했다. 그리고 지난해엔 자신이 직접 그 얘기의 주체가 됐다. 2002년부터 18년 동안 의사로 일한 최 작가는 좋아하는 바다를 찍기 위해 전업 수중 작가가 됐다. “새로운 일에 몰두하면 ‘행복 호르몬’인 도파민이 나온다고 하죠. 저는 아름다운 바다를 찍으며 어디서도 느껴보지 못한 행복을 느껴요.”

그는 2015년 동호회에 가입해 사진을 배웠다. 그러다 우연히 스쿠버다이빙을 하게 되며 그만의 피사체를 찾아냈다. 접사렌즈로만 찍을 수 있는 1~2㎝의 바닷속 생물들이다.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에서 ‘니모’로 나온 흰동가리, 붉은 돌기가 있는 갯민숭달팽이 등이다. 작고 귀엽다고 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위협적이지 않도록 10~15분 정도 조용히 기다린 후 찍어야 해요. 제가 곁을 주고 교감해야만 그들을 렌즈에 담을 수 있죠.”

지난해 10월엔 서울 인사동 갤러리 고도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다. “2년에 한 번쯤은 전시를 해야겠다고 스스로 약속했어요. 바닷속에서 저만의 색들을 많이 발견해서 더욱 발전시키고 싶습니다.”

 조선공학도 권오철, 별은 내 가슴에

권오철 작가(47)는 전 세계 별들을 카메라에 담는 천체사진 작가다.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과 같은 잡지사, 과학관 등에 사진을 판매하고 있다. 권 작가는 조선공학을 전공하고 대우조선, LG유플러스 등에서 일했다. 대학 때 천체 동아리에 들어간 것이 사진을 찍는 계기가 됐다. 아름다운 별들을 기억하고 기록하기 위해 카메라를 꺼내 든 것. 권 작가는 “말 그대로 ‘별을 따는’ 기분에 빠졌다”며 “반짝이는 별을 바라보며 셔터를 누를 때마다 엄청난 희열을 느낀다”고 말했다.

권 작가는 대학교 4학년 때인 1996년부터 개인전을 열 만큼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처음부터 전업 작가가 되지 않고, 회사를 다니며 꾸준히 준비했다. 그는 “취미와 직업은 엄연히 다르다”며 “사진을 팔아 돈을 계속 벌 수 있을 때까지 공부하며 기다렸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오랜 노력 끝에 2009년 전업 작가가 됐다. 캐나다, 호주 등 세계 각국의 하늘을 담아 지난해 1월까지 8회에 걸쳐 개인전을 열었다.

그는 전업 작가가 되기 위해선 피사체에 대해 많이 공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고 찍는 것과 모르고 찍는 것은 차이가 큽니다. 피사체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이 된다면 큰 경쟁력을 갖춘 작가가 될 수 있습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