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1950년대 작가와 화가, 어떻게 함께 작품 만들었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늘날의 젊은 예술가, 혹은 자유로운 영혼들은 손바닥 위에서 연결을 찾는다.
전시 포스터는 마치 오늘날 예술가들의 인스타그램 계정 간 연결도를 보여주듯 당시 문예인의 연결도를 표현해 두었다.
포스터 위에 이름이 쓰인 이상, 백석 등 시인과 김환기, 이중섭 등 동시대에 활동한 국내 작가들은 다방과 술집에 모여 부조리한 현실을 거부하고 새로운 시대 인식을 공유하며 함께 '전위(예술)'를 외쳤던 자유로운 영혼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가 볼만한 전시&공연]
오늘날의 젊은 예술가, 혹은 자유로운 영혼들은 손바닥 위에서 연결을 찾는다. 인스타그램에서, 클럽하우스앱에서 사진과 목소리로 소통하고 실제 프로젝트로 이어지는 경우도 잦다. 그렇다면 지금 거장이 된 예술가들은 과거에 어떻게 교류했을까?
국립현대미술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시기, 즉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의 문예인 교류를 담은 전시 ‘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를 덕수궁에서 개최한다. 전시 포스터는 마치 오늘날 예술가들의 인스타그램 계정 간 연결도를 보여주듯 당시 문예인의 연결도를 표현해 두었다. 포스터 위에 이름이 쓰인 이상, 백석 등 시인과 김환기, 이중섭 등 동시대에 활동한 국내 작가들은 다방과 술집에 모여 부조리한 현실을 거부하고 새로운 시대 인식을 공유하며 함께 ‘전위(예술)’를 외쳤던 자유로운 영혼이었다.
전시는 전위와 융합, 지상의 미술관, 이인행각, 화가의 글·그림 등 4개 공간으로 나누어 구성됐다. 당시 분위기를 엿보려면 제1 전시실(전위와 융합)에서 시인 이상이 운영했던 다방 ‘제비’를 배경으로 펼쳐진 예술가 네트워크와 새로운 도전들을 살펴보고, 출판 분야에 관심이 많다면 제2 전시실(지상의 미술관)에서 1920~1940년대 인쇄 미술을 집중해 관람할 수 있다. 당시 신문사와 잡지사 편집실은 문인과 미술인이 만날 수밖에 없는 사회 구조였다. 복각본으로 출판돼 인기를 얻었던 김소월의 <진달래꽃> 원본 등 수많은 근대기 시집들도 볼거리다.
더 개인적이고 깊은 이야기는 제3 전시실(이인행각)에서 파악할 수 있다. 이중섭과 구상의 특별한 관계에서 비롯한 작품 등이 감동을 주고, 정지용과 장발, 백석과 정현웅, 김기림과 이여성, 이태준과 김용준 등 문예계의 대표적인 문학가-미술인 ‘쌍’들이 전시됐다. 문학적인 능력을 지닌 화가들을 조명한 제4 전시실(화가의 글·그림)은 김용준, 장욱진, 한묵, 박고석, 천경자, 김환기 등 6인의 작가가 남긴 글과 그림을 함께 감상하는 곳이다.
문학과 교류가 있었던, 그래서 능력을 십분 발휘하고 성공할 수 있었던, 지금 거장들의 청년기와 상호작용을 다면적으로 다룬 이번 전시는 5월30일까지 계속된다.
장소: 중구 정동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시간: 화~일 오전 10시~오후 6시(수·토 오후 9시까지) 관람료: 무료(사전예약제) 문의: 02-2022-0600
이준걸 서울문화재단 대리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한겨레 금요 섹션 서울앤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