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發 'K자 양극화' 소득 불균형 2분기 연속 악화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시작됐던 지난해 4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4만원인 반면 5분위(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1000만원을 넘으면서 소득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분기 연속 분배 지표가 나빴지면서 정부는 코로나19 취약업종·계층에 대해 정책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정부가 2차 재난지원금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 지원에 나서 하위 20%의 소득을 플러스(+)로 돌려놨지만 고용시장 한파가 하위소득층에 더 큰 상처를 남겼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4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02만6000원으로 2.7% 늘었다.
두 계층의 소득 증가율 격차를 가른 지점은 근로소득이다.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59만6000원)은 13.2% 급감했다. 2분위 가구 역시 5.6% 감소했다. 반면 5분위 가구(721만4000원)는 1.8%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는 취업자 감소 폭이 44만1000명으로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고용시장이 가장 나빴던 시기다. 소득 하위 가구 근로자의 일자리가 임시·일용직 등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보니 이들이 근로소득에서 큰 타격을 입은 결과다. 근로소득은 통상 전체 가구의 소득 중 약 2/3를 구성한다.
사업소득은 반대 양상이 나타났다. 1분위 가구(27만9000원)가 6.2% 증가한 반면 5분위 가구(182만7000원)는 8.9% 급감했다. 5분위의 사업소득이 이처럼 급감한 것은 4분기 기준으로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3분위와 4분위의 사업소득 역시 각각 5.7%, 5.1%씩 줄었다. 사업소득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부유한 계층이 더 큰 타격을 입은 셈이다.
2차 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 역시 소득 격차를 상대적으로 줄이는 역할을 했다. 1분위 가구의 공적이전 소득은 54만3000원으로 17.1% 늘어 총소득을 증가로 반전시켰다. 5분위 가구의 공적이전 소득도 26만9000원으로 11.7% 증가했다. 5분위 가구는 추석 연휴 여파로 사적이전 소득이 36.3% 늘었다. 가계의 지출은 1분위 가구가 월평균 188만5000원으로 1.4% 늘었다. 같은 기간 5분위 가구는 1.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소비지출만 놓고 보면 1분위가 1.8% 늘리는 동안 5분위는 0.4% 줄였다. 소비지출 비중의 경우 1분위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23.4%), 주거·수도·광열(14.8%), 보건(12.9%) 순이고, 소득 5분위 가구는 교통(15.9%), 식료품·비주류음료(13.1%), 음식·숙박(12.6%) 순이다.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137만6000원으로 2.2% 증가했지만 매월 평균 24만4000원의 적자(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를 냈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789만5000원으로 2.3% 늘었다. 흑자액은 월평균 338만3000원에 달했다.
빈부 격차는 심화됐다. 대표적인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이 악화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원 수별로 나눈 가처분소득을 1분위와 5분위 대비로 비교하는 지표다. 수치가 오르면 분배의 악화를, 수치가 내리면 분배의 개선을 의미한다.
4분기 중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72배였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4.72배 많다는 의미다. 전년 동기의 4.64배보다 0.08배 포인트 오른 수치다. 이는 3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분배가 악화됐다는 의미다. 3분기 중 5분위 배율은 4.88배로 1년 전보다 0.22배 포인트 악화된 바 있다.
정부 지원금 효과를 제거한 시장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이전소득) 5분위 배율은 7.82배로 1년 전의 6.89배보다 1배 포인트 가까이 벌어졌다.
정부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어 “코로나19 취약업종·계층에 대한 피해지원 노력을 지속·강화하는 한편, 위기 이후 양극화가 고착화되지 않도록 '포용적 회복'을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oskymoo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코로나 감염 기네스 펠트로 "무설탕 김치로 건강관리"
- '싱글맘' 야옹이 작가 연인 전선욱 "끝까지 나영이 편"
- 암으로 코 잃은 여성 "가짜 코 붙이지 않겠다"
- 54세 나이 잊게 만드는 이승연의 다이어트 비법
- ‘췌장암 투병’ 유상철“항암치료 후 일주일은 못 먹어”
- “기아처럼 야윈 정인이, 사망 전날 모든 걸 포기한 모습” 어린이집 원장 증언
- '일본 거주' 최홍만 충격 근황..."악플때문에 대인기피증"
- “30만원만 빌려달라” “공짜로 안되겠냐” 별점으로 흥정하는 황당한 배달 고객
- 도로 배회하는 '푸른 털' 개들..혹시 동물학대?
- '서정희 표 인테리어' 눈에 띄네..19평 집이 호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