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근로·사업소득 3분기 연속 감소..저-고소득층 격차도 벌어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코로나19의 3차 유행 충격으로 4분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모두 감소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3차 유행으로 일자리가 줄어든 탓에 근로소득은 0.5% 감소했다.
근로·사업소득 동반 감소는 지난해 2분기가 처음이었다가 3·4분기까지 세 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다.
결국 코로나19 경제 위기로 시장에서 번 돈(근로+사업소득)이 줄었지만 정부의 각종 지원 정책으로 소득 감소를 막은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소득층 소득, 저소득층보다 4.72배 많아
지난해 코로나19의 3차 유행 충격으로 4분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모두 감소했다. 정부 지원금 덕에 총소득은 소폭 늘었다. 고소득층의 소득이 더 크게 늘면서 소득 격차가 벌어졌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구(전국 2인 이상)의 월평균 소득은 516만1천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8%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 증가율(1.6%)보다는 소폭 늘었다.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3차 유행으로 일자리가 줄어든 탓에 근로소득은 0.5% 감소했다. 대면서비스를 중심으로 자영업 경기가 부진해 사업소득도 5.1% 감소했다. 근로·사업소득 동반 감소는 지난해 2분기가 처음이었다가 3·4분기까지 세 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다.
가구당 월평균 공적이전소득은 41만7천원으로, 전년보다 22.7% 증가했다. 기초연금 인상 및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등 2차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다. 결국 코로나19 경제 위기로 시장에서 번 돈(근로+사업소득)이 줄었지만 정부의 각종 지원 정책으로 소득 감소를 막은 것이다.
■ 코로나 고용충격에 저소득층 근로소득 급감
전 계층 소득이 모두 전년 대비 증가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4만원으로, 전년 대비 1.7% 올랐다. 2분위 소득(327만5천원)은 0.1% 올랐고, 3분위(462만8천원)와 4분위(623만1천원)는 각각 1.2%, 2%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 소득(1002만6천원)은 2.7% 증가했다. 지난 3분기엔 1·2분위 가구 소득은 줄고 3~5분위 소득은 늘었지만 4분기엔 저소득층도 소득 증가로 전환한 것이다.
1분위는 근로소득(59만6천원)이 13.2%나 줄었다. 코로나19로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주로 일자리를 잃게 되면서 근로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다만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등 공적이전소득(54만3천원)이 17.1% 늘면서 전체 소득을 소폭 끌어올렸다.
5분위는 자영업 부진으로 사업소득(182만7천원)이 8.9% 감소했다. 고용이 비교적 안정적인 상용직이나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장의 취업자는 코로나19에도 소폭 늘어 근로소득(963만2천원)은 1.8% 늘었다.
전체적으로는 고소득층 소득이 저소득층보다 더 많이 늘어나 소득 격차는 벌어졌다. 5분위 소득이 1분위 소득의 몇배인지 보여주는 5분위 배율(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은 4.72배로, 전년(4.64배)보다 0.08배포인트 올랐다. 시장소득(근로·사업·재산·사적이전소득) 기준으로는 5분위 배율이 7.82배였으나, 정부의 각종 지원금으로 3.1배포인트 낮아졌다.
■ 옷 안 사고, 머리 안 자르고…소비 줄여 흑자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에서 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17만5천원으로, 전년 대비 2.3% 늘었다. 비소비지출은 저금리에 이자비용이 줄고, 기부금이나 각종 회비 등 비영리단체로 이전지출이 감소해 전년 대비 0.3% 줄었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7천원으로, 전년 대비 0.1% 줄었다. 3분기 감소폭(-1.4%)보다는 줄어, 소비가 다소 회복한 모습이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26만9천원이다.
소비지출 항목을 보면, 의류·신발이 9.2% 줄고, 오락·문화(-18.7%), 교육(-15.2%), 음식·숙박(-11.3%), 이미용 서비스(-17.7%) 등이 크게 줄었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면서 식료품·비주류음료가 16.9% 늘었고, 가정용품·가사서비스도 15.6% 증가했다.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인 평균 소비성향은 69.6%로, 전년 대비 1.7%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3분기(69.1%)보다는 0.5%포인트 올랐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옥중경영 되나 안 되나…‘이재용 취업제한’ 침묵하는 삼성, 왜?
- 할리 타는 요리사 신계숙 “스승 손에 장을 지지게 하고 싶었다”
- 신현수 수석 사의 파동 이면엔 청와대·검찰 ‘깊은 갈등의 골’
- 백기완 없는 거리에서 / 김진숙
- 정의당 장혜영, 미 주간지 ‘100명의 떠오르는 인물’ 선정
- 5·18 계엄군 성폭력 5건 더 있었다
- 학폭이 한때 장난? 피해자엔 풀 길 없는 ‘평생 트라우마’
- 서울 6호선 연장, 마석이냐 와부냐
- 80년대생 임원 “개인 성장-조직 성과 별개 아냐…가교 역할 최선”
- ‘자본 너머’ 공생하는 세상을 묻다, 여성의 소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