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환추스바오, '반크'에 시비.."중국 겨냥한 공격 거칠고 무모"

문예성 2021. 2. 18. 11: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관영 환추스바오가 한국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표출했다.

18일 환추스바오는 "한중 양국 모두 사이버 여론과 민간 정서 사이에서 발생한 소음을 잠재우기를 바라고 있는데 일례로 작년 말 '김치 논쟁'은 거의 잠잠해졌다"면서 "그러나 문제를 일으키는 한국 시민단체 '반크'는 지금도 세계 최대 청원사이트에 청원을 올려 '중국이 한국 문화를 도용한다'고 항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융단폭격식 이메일 발송·한국 청년들 기만..반크 제기 문제 선동성 커"
[서울=뉴시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제작한 '쇼비니즘 중단'이라는 제목의 디지털 포스터. (사진=반크 SNS)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 관영 환추스바오가 한국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표출했다.

18일 환추스바오는 “한중 양국 모두 사이버 여론과 민간 정서 사이에서 발생한 소음을 잠재우기를 바라고 있는데 일례로 작년 말 ‘김치 논쟁’은 거의 잠잠해졌다”면서 “그러나 문제를 일으키는 한국 시민단체 ‘반크’는 지금도 세계 최대 청원사이트에 청원을 올려 ‘중국이 한국 문화를 도용한다’고 항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반크는 지난 1999년 1월1일 한국에 대한 전세계 네티즌들의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는 취지로 설립됐다”면서 “설립 당시 회원은 300명에 불과했지만, 현재 15만명의 회원이 자원봉사를 하고 있고 이중 3만3000명은 해외 회원”이라고 설명했다.

신문은 "중국어로 '한국의 친구'라는 이름을 가진 반크가 지난 22년 동안 한중 문화교류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신문은 “반크는 행사 주최, 모금, 기념품 판매 등을 주요 주입원이라고 밝히지만, 실질적으로 여러 형식으로 정부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면서 지난 2008년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정부 차원에서 반크에 5000만원을 지원하도록 하는 등 반크에 공적 자금이 지원돼 왔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또 “반크는 '융단폭격식으로 이메일을 발송하는데 숙달돼 있고, 이 단체가 벌인 30건의 세계적 청원에 11만6000명만 동참했다”고 평가절하했다.

그러면서 “반크가 제기한 문제는 대부분 영토, 역사, 문화 분쟁과 연관된 사안으로 선동성이 크다”며 “반크는 민간조직, '사이버사절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 청년들을 기만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취재를 통해 확인한 바, 반크가 제기하는 구상들은 한국 청년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입장을 상당 부분 대변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과거 일본 우익의 역사 왜곡 행보에 항의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반크는 중국과 연관된 문제에서 매우 거칠고 무모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 "단체는 중국에 대한 한국 사회의 많은 편견을 모았다"고 부연했다.

상하이대외경제무역대 한반도연구센터 주임인 잔더빈(詹德斌) 교수는 “한국에서 반크와 유사한 조직이 한 개 뿐이 아니다. 이런 조직은 한중문화 갈등을 조장하는 한 축에 불과하다”면서 “일부 학계인사와 언론 매체들도 동참해 전반적인 (중국 혐오) 분위기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잔 교수는 또 “역사적 분쟁과 연관해 여론몰이를 해 온 단체와 개인은 '논쟁점'을 찾아낸 이후 주요 언론사에 이메일을 보내 호소하며 주요 언론도 이를 보도하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그는 또 “일부 ‘학자’라고 자처하는 시사 문화 평론인들은 반크가 목소리를 내는데 유리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왔다”면서 “이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알렸고, 반크가 ‘학술적’이라는 '겉옷'을 얻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한중간 김치 기원 논쟁을 가장 먼저 도발하고 ‘조선족 시인’ 윤동주의 국적문제에 항의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최근 주목을 받은 온라인 유명인사가 됐다”고 했다.

잔 교수는 “최근 몇 년동안 미중 관계 악화 등 원인으로 한중 관계에도 미묘한 변화가 발생했는데 논쟁이 있는 분야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가진 한국 전문가들이 자신들의 성과를 발표하는 것을 꺼리거나 발표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면서 “한국 전문가들이 중국 전문가들과 교류할 때 많은 제한과 간섭을 받지 말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