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 "코로나19, 대유행 끝나도 풍토병으로 남을 것"

곽노필 2021. 2. 18. 10: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다수 과학자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이 끝나더라도 사라지지 않고 풍토병(endemic)으로 남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70% 이상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변이를 통해 면역을 회피하는 것도 풍토병으로 존속하는 또 다른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100여명 대상 설문조사
"5년후 감기, 코로나19 바이러스 원인일 수도"
많은 과학자들은 코로나19가 풍토병으로 남을 것으로 생각한다. 픽사베이

대다수 과학자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이 끝나더라도 사라지지 않고 풍토병(endemic)으로 남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자들은 하지만 증상의 위험 정도는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지난 1월 100여명의 면역학자, 전염병 연구자, 코로나바이러스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약 90%가 이렇게 답변했다고 16일 밝혔다. 응답자의 60%는 가능성을 매우 높게 봤으며,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는 사람은 응답자의 6%에 불과했다. 이는 앞으로 수년 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 사람들 사이에 계속해서 확산될 수 있다는 걸 뜻한다. 풍토병이란 특정 지역에서 주기적으로 계속해서 발생하는 질병을 말한다. 계절성 독감(인플루엔자A)이나 코로나바이러스 4종(229E, NL63, OC43, HKU1)에 의한 일반 감기가 이런 풍토병에 해당한다.

조지타운대 안젤라 라스무센 교수(바이러스학)는 “풍토병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될지 그 패턴을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네이처'는 “5년 후 자녀가 콧물과 열에 시달릴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원인일 수 있다"며 이는 코로나19에 관한 예측 시나리오 중 하나라고 밝혔다. 사람들이 감염이나 백신 접종을 통해 일단 면역력을 갖게 되면 심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 미네소타대 마이클 오스터홈 교수(전염병학)는 “지금 당장 이 세상에서 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은 달로 가는 돌계단을 구축하려는 것처럼 비현실적인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애틀 프레드허친슨암연구센터의 진화생물학자 제시 블룸은 1918년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후손들이 계절성 독감을 일으키는 점을 들어 코로나19도 독감과 같은 질병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미국 컬럼비아대 메일맨보건대학원의 제프리 샤먼 교수도 지난해 10월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독감과 유사한 계절성 겨울 질환으로 정착할 수 있다는 모델링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백신으로 면역이 생겨도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력은 저하된다. 픽사베이

일정 기간 후 면역력 저하가 풍토병의 한 원인

또 응답한 과학자의 3분의1 이상(39%)은 어떤 지역에서는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고, 어떤 지역에서는 코로나19가 퇴치되는 상황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연구진의 모델링 분석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조처를 전제로 일시적으로나마 집단 면역을 달성하려면 전염 차단 효과가 90%인 백신이 인구 55% 이상에게 접종돼야 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처가 없는 경우엔 백신 접종률이 67%는 돼야 한다. 그러나 새로운 변이의 출현으로 전염 속도가 빨라지거나 백신 효과가 90%를 밑돈다면 이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맞아야 집단면역이 가능하다. 옥스퍼드대 크리스토퍼 다이 교수(전염병학)는 “코로나19가 제거된 지역도 위험은 상존하며 백신 접종 인구와 공중보건 조처가 충분하지 못하다면 재감염 위험이 계속될 것”이라고 ‘네이처’에 말했다.

코로나19가 풍토병이 될 수 있다는 예상의 유력한 근거 가운데 하나는 면역력 기간이다. 면역력이 평생 유지되면 풍토병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코로나19의 면역력은 짧게는 몇개월, 길어도 1~2년을 넘지 않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예상한다. `네이처'는 “설문 조사에 응한 과학자의 절반 이상이 이 바이러스를 풍토병으로 만드는 원인 중 하나로 면역력 저하를 꼽았다”고 밝혔다.

바이러스를 근절하지 못한다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반드시 계속해야 하는 건 아니다. 픽사베이

인수공통감염병 중 완전히 사라진 전례 없어

응답자의 70% 이상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변이를 통해 면역을 회피하는 것도 풍토병으로 존속하는 또 다른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예컨대 감기 코로나바이러스 229E는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에 감염된 사람들한테 생긴 혈액속 중화항체가 별다른 힘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진화했다. 블룸 박사는 아마도 매년 코로나19 백신을 업데이트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과거 백신 접종이나 감염을 통해 얻은 면역이 증상을 완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수공통감염병인 코로나19가 사람한테서는 제거됐지만 야생동물에 남아 있을 경우도 전염병 재발의 위험 요인이다. 환경이나 여건에 따라 언제든지 사람한테 다시 옮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황열병이나 에볼라가 그런 사례라고 `네이처'는 지적했다. 오스터홈 교수는 “인류 역사에서 동물 매개 질병(인수공통감염병)이 전염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경우 지구상에서 사라진 질병은 없었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불균등한 백신 접종(45%), 백신 거부(37%), 정치적 의지 부족(29%) 등도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사라지지 않게 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네이처는 “그러나 바이러스를 근절하지 못한다는 것이 지금과 같은 사망자 증가, 사회적 거리두기 조처가 계속될 것을 뜻하는 건 아니다”라며 “봉쇄나 마스크 착용, 사회적 격리 등의 조처는 앞으로 감염이나 백신을 통해 형성되는 면역의 정도와 바이러스 진화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