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빨리 움직여야 하는 시대 끝났다..부성애 버려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지웅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부' 모델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리나라의 압축성장 시기엔 정부가 빠르게 관련법을 만들고 규제로 부작용을 막는 게 효과적이었지만 성장 이후 복잡해진 문제 해결과 민간의 혁신에는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제 정부가 빨리 움직이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윤지웅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부' 모델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리나라의 압축성장 시기엔 정부가 빠르게 관련법을 만들고 규제로 부작용을 막는 게 효과적이었지만 성장 이후 복잡해진 문제 해결과 민간의 혁신에는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다.
윤지웅 교수는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KDI(한국개발연구원) 개원 5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에 발표자로 참석, 머니투데이와 만나 이같이 밝혔다.
윤 교수는 "나라가 급성장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모든 것을 빨리 해야한다는 강박이 있는 것 같다"며 "국민은 '빠른 정부'에 익숙해졌고 정부는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정부가 빨리 움직이는 시대가 지났다"고 말했다.
과거 빠르게 법과 규제를 만들어 사회문제를 해결해온 방식은 안정적인 사회에선 유용하다. 하지만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큰 현대에는 표면으로 드러난 현상을 막는데 그친다는 얘기다.
되레 규제 리스크를 가늠할 수 없으니 관련 기본법이 만들어질 때까지 사업을 미루는 부작용을 만들기도 한다. 근본적인 원인과 그로 나타난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윤 교수의 주장이다.
윤 교수는 "한번 법으로 규정한 내용은 없애거나 수정이 쉽지 않다"며 "복잡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시대에는 허용하는 행위를 법으로 명시한 포지티브 규제가 아닌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우리 국가 전체 R&D(연구개발) 예산이 100조원 정도인데 정부 비중은 30조원 정도"라며 "민간과 정부의 비율이 바뀐 건 1980년대인데 정부는 여전히 국민(민간)을 보듬어야 하는 부성애적 시각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부성애적 차원의 접근보단 민간의 지식을 더 습득해서 공공 부분을 효율화 노력을 해야 한다"며 "뭐가 더 국가 발전에 바람직한지는 민간과 정부가 서로 배워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 교수는 이날 컨퍼런스에서 공공·재정분야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똑똑한 정부'를 주제로 발표했다. 윤 교수는 "미래의 정부는 정책 수행 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최고 수준으로 높이는 똑똑한 정부가 돼야한다"며 디지털 정부 규현과 네거티브 규제 방식으로의 규제 재설계 등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비비탄 난사·상습폭행"…조병규, 새로운 '학폭' 주장글 등장 - 머니투데이
- "'염색한 애' 30명 불러 욕설"vs"조병규는 흑발"…'소문이'의 진실은? - 머니투데이
- '나사 전 직원' 허린 "천재들, 나사보다 국방과학연구소에 더 많다" - 머니투데이
- 내 알몸 노출됐는데…그랜드조선제주, 사과하고 사우나 '운영 중단' - 머니투데이
- '건물주' 제이쓴이 "금수저냐" 질문에 한 말
- 로또 1등 당첨자 안타까운 근황…"아내·처형 때문에 16억 아파트 날려" - 머니투데이
- '故송재림과 열애설' 김소은 "가슴이 너무 아프다"…추모글 보니 - 머니투데이
- 전성기 때 사라진 여가수…"강남 업소 사장과 결혼, 도박으로 재산 날려" - 머니투데이
- '숙명의 한일전' 3-6 패배…프리미어12 조별리그 탈락 위기 - 머니투데이
- "돈으로 학생 겁박"…난장판 된 동덕여대, '54억' 피해금은 누가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