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지급했더니 위기가구 37%는 생계지원금 못 받았다"

문예슬 2021. 2. 17. 07: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앞두고 정부여당이 우선 맞춤형 지원을 한 뒤 전 국민 지원은 추후 논의하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앞서 지난해 봄 지급된 1차 재난지원금은 전 국민에게 모두 지급됐고, 2차와 3차 재난지원금은 소상공인과 프리랜서 등 피해를 본 직업군에 지원금을 주는 맞춤형, 선별지원이었습니다.

선별 지원의 취지는 실제 피해를 본 사람들에게 혜택이 가도록 하자는 거였는데, 실제 지원은 제대로 이뤄졌을까요?

먼저 문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학 졸업 후 1년 넘게 취업 준비 중인 26살 임 모 씨.

일용직 아르바이트로 매달 3~40만 원을 벌었는데, 코로나19로 일자리가 끊겨 몇만 원 벌기도 힘들어졌습니다.

이런 임 씨에게 지난해 10월 소득이 줄어든 위기 가구에 최대 100만 원의 생계지원금을 준다는 소식은 단비 같았습니다.

하지만 서류 한 장에 막혔습니다.

[임○○/음성변조 : "가장 큰 걸림돌이 소득감소 확인서라는 서류가 좀 문제가 됐습니다."]

코로나19로 소득이 25% 이상 줄었다는 걸 신청자가 증명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사업주의 서명이 필요했습니다.

행사진행요원 등 일용직 아르바이트를 해왔던 임 씨는 근로계약서는커녕 고용 업체의 연락처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서명을 받는 건 불가능했습니다.

이게 임 씨 만의 일이었을까요.

지난해 말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위기 가구 생계지원금이 얼마나 집행됐는지 자료를 확보해 살펴봤습니다.

서울은 43%, 인천은 38%, 재난지원금 예산을 절반도 못 쓴 지자체가 많았습니다.

전국 통틀어 책정된 예산의 63%만 집행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2차 재난지원금 설계 당시 생계지원금이 필요한 위기 가구를 55만 가구로 추산했는데요.

하지만 20여만 가구는 지원금을 못 받고 사업이 종료됐습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긴 걸까요.

직접 예산을 집행한 지자체에 문의해봤습니다.

[서울 A 구 관계자/음성변조 : " 현 직장에서도 서류 떼와야 되고 전 직장에서도 떼와야 되고… 설명하는 사람도 잘 모르겠고 듣는 사람도 잘 모르겠고 그래서 많이 돌아가셨고."]

[서울 B 구 관계자/음성변조 : "애초에 서류 자체가 너무 까다로웠고, 25% 이상 했던 그 부분이 처음에 판단하기가 어려웠지…"]

대상자를 선별하고 증명하기가 어려웠다는 겁니다.

정부도 이런 상황을 파악하고 신청 마감 나흘 전에야 조건을 완화했습니다.

소득이 1원이라도 줄었다면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내야 할 증명 서류도 없앴습니다.

마감 기한도 두 차례나 늘렸습니다.

하지만 뒤늦은 조건 완화 방침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결국 위기 가구에 지급되어야 할 천2백억 원은 정부 예산으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 조용호/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한종헌 채상우

문예슬 기자 (moonster@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