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직격탄..지난달 도소매·숙박음식 취업자 감소폭 최대

이명철 2021. 2. 17. 00: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년동월대비 58.5만명 줄어..2013년 이후 가장 많아
3차 확산에 방역조치 강화..대면서비스업 고용여건 위축
"비대면 경제 전환으로 사업 재편..낙오자 대책 마련해야"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코로나19 3차 확산 여파로 대면 서비스업인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의 취업자수가 사상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젊은층인 20대 취업자가 가장 많이 감소하고 임시근로자가 크게 줄어드는 등 고용 취약계층의 타격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5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 대학가의 음식점 골목이 한산한 모습이다. (사진=연합뉴스)
9시 영업제한·5인 집합금지 여파에 얼어붙은 고용시장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숙박·음식점업 취업자수는 196만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6만7000명 감소했다. 도·소매업 취업자수는 같은기간 21만8000명 줄어든 339만1000명이다.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의 취업자수 감소폭은 새로운 산업 분류를 적용해 통계를 작성한 2013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두 개 업종을 합한 도소매·숙박음식점업 감소폭(58만5000명) 역시 사상 최대치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한 후 초기 확산기인 지난해 4~5월만 해도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감소폭은 33만3000명, 37만2000명으로 30만명대에 그쳤다. 코로나19 2차 확산의 영향이 미친 지난해 9·10월(43만2000명·41만3000명)도 40만명대 수준에 머물렀다.

코로나19가 안정세를 보이던 지난해 11월에는 32만9000명 줄었지만 3차 확산이 본격화한 12월 51만명으로 감소폭이 커지더니 올해 1월 60만명에 육박한 것이다.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시작한 코로나19 3차 확산에 따른 방역당국의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 서비스업이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하루 확진자수가 1000명을 넘어서자 연말연시 특별방역 강화대책을 통해 5인 이상 사적 모임을 금지하고 식당, 카페 등의 영업시간을 저녁 9시까지로 제한하는 강력한 방역조치를 시행했다. 음식점이나 카페 등의 경우 오후 9시까지만 영업을 금지하기로 결정하면서 피해가 컸다.

실제 코로나19 3차 확산이 극심했던 지난해 12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2.2% 감소했는데 이중 숙박·음식점이 39.5% 급감하기도 했다. 휴양콘도운영업(-55.1%), 호텔업(-53.2%), 음식점·주점업(-38.9%) 등이 일제히 부진한 탓이다. 도·소매업(-0.5%) 중에서는 소매업이 6.9% 감소했다.

경기 후행 성격이 강한 고용시장 특성상 3차 확산의 여파가 지난달 고용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코로나 이후에도 회복 어려워…맞춤형 지원 필요”

대면서비스업 고용 부진의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연령층은 해당업종의 종사자 비중이 높은 20대다.

20대의 경우 숙박·음식점에서 10만4000명, 도·소매업 6만4000명 등 총 16만8000명 줄어 전체 연령대에서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어 50대가 16만10000명, 40대 14만7000명, 60세 이상 3만3000명, 30대 2만9000명 순이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시근로자는 숙박·음식점업 16만5000명, 도·소매업 6만8000명 등 총 23만3000명 감소했다. 상용근로자 감소폭(10만4000명)의 두배 수준이다. 일용 근로자는 숙박·음식점엄 7만1000명, 도·소매업 2만6000명 등 9만7000명이 줄었다.

자영업자 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6만8000명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이 3만7000명, 도·소매업 3만2000명 각각 감소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2000명 늘었다. 이는 경영 부진을 겪은 자영업자들이 기존 종사자들을 내보내면서 혼자 영업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장기화 국면으로 당장 대면서비스업의 고용 회복이 쉽지 않고 온라인 쇼핑 증가 등에 따른 사업 구조조정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맞춤형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피해 업종에 대한 손실 보상은 사실 지원금의 성격인데 이를 두고 근본적인 고용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비대면 경제 전환에 따른 사업 재편 과정에서 낙오하는 대면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고용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명철 (twomc@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