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선별지급했더니 위기가구 37%는 생계지원금 못 받았다"
[앵커]
코로나19 4차 재난지원금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
정부는 소상공인에 대한 선별적, 맞춤형 지원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국민에게 지급했던 1차 재난지원금과 달리, 2차, 3차 지원금은 모두 이런 선별적, 맞춤형 지원이었는데요.
소상공인과 프리랜서 등 피해를 본 직업군에 지원금을 주고 돌봄 지원과 고용안정 지원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이 포함됐습니다.
선별 지원의 취지는 실제 피해를 본 사람들에게 혜택이 가도록 하자는 거였는데, 지원이 제대로 이뤄졌을까요?
문예슬 기자가 2차 지원금 당시 위기가구에 지급된 생계지원금 사례를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대학 졸업 후 1년 넘게 취업 준비 중인 26살 임 모 씨.
일용직 아르바이트로 매달 3~40만 원을 벌었는데, 코로나19로 일자리가 끊겨 몇만 원 벌기도 힘들어졌습니다.
이런 임 씨에게 지난해 10월 소득이 줄어든 위기 가구에 최대 100만 원의 생계지원금을 준다는 소식은 단비 같았습니다.
하지만 서류 한 장에 막혔습니다.
[임OO/음성변조 : "가장 큰 걸림돌이 소득감소 확인서라는 서류가 좀 문제가 됐습니다."]
코로나19로 소득이 25% 이상 줄었다는 걸 신청자가 증명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사업주의 서명이 필요했습니다.
행사진행요원 등 일용직 아르바이트를 해왔던 임 씨는 근로계약서는커녕 고용 업체의 연락처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서명을 받는 건 불가능했습니다.
이게 임 씨 만의 일이었을까요.
지난해 말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위기 가구 생계지원금이 얼마나 집행됐는지 자료를 확보해 살펴봤습니다.
서울은 43%, 인천은 38%, 재난지원금 예산을 절반도 못 쓴 지자체가 많았습니다.
전국 통틀어 책정된 예산의 63%만 집행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2차 재난지원금 설계 당시 생계지원금이 필요한 위기 가구를 55만 가구로 추산했는데요.
하지만 20여만 가구는 지원금을 못 받고 사업이 종료됐습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긴 걸까요.
직접 예산을 집행한 지자체에 문의해봤습니다.
[서울 A 구 관계자/음성변조 : "현 직장에서도 서류 떼와야 되고 전 직장에서도 떼와야 되고… 설명하는 사람도 잘 모르겠고 듣는 사람도 잘 모르겠고 그래서 많이 돌아가셨고."]
[서울 B 구 관계자/음성변조 : "애초에 서류 자체가 너무 까다로웠고, 25% 이상 했던 그 부분이 처음에 판단하기가 어려웠지…"]
대상자를 선별하고 증명하기가 어려웠다는 겁니다.
정부도 이런 상황을 파악하고 신청 마감 나흘 전에야 조건을 완화했습니다.
소득이 1원이라도 줄었다면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내야 할 증명 서류도 없앴습니다.
마감 기한도 두 차례나 늘렸습니다.
하지만 뒤늦은 조건 완화 방침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결국 위기 가구에 지급되어야 할 천2백억 원은 정부 예산으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 조용호/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한종헌 채상우
문예슬 기자 (moonster@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