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캡슐내시경 영상, 이제는 AI로 판독한다

안호균 2021. 2. 16. 09: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소장 캡슐 내시경 영상 판독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 96%이상의 높은 판독 정확도를 기록했다.

16일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에 따르면 캡슐내시경은 알약 모양의 캡슐을 입으로 삼켜 식도, 위장, 소장 등의 건강 상태를 촬영하고 이 영상을 분석, 판독해 소화기 질환 진단에 이용하는 기기다.

또 개발된 모델의 검증비교를 위해 모델 훈련에 사용되지 않은 5760장의 소장 캡슐내시경 영상을 추가해 합성모델과 이분형모델의 판독 정확도를 비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사가 영상 수만장 판독하면 시간·정확도에 어려움
가톨릭대·포스텍, 영상 판독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딥러닝 알고리즘 정확도 96% 이상.."상용화 목표"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소장 캡슐 내시경 영상 판독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 96%이상의 높은 판독 정확도를 기록했다.

16일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에 따르면 캡슐내시경은 알약 모양의 캡슐을 입으로 삼켜 식도, 위장, 소장 등의 건강 상태를 촬영하고 이 영상을 분석, 판독해 소화기 질환 진단에 이용하는 기기다.

일반 내시경이 들어가기 힘든 소장을 관찰할 수 있어 원인 모를 복통, 설사, 출혈 및 빈혈의 원인, 용종, 궤양, 크론병과 소장종양 등 다양한 질환의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기존 연성케이블 내시경을 대체하는 혁신적 기술로 평가받는다.

캡슐내시경은 초당 수십 장의 정지 영상을 촬영해 8~12 시간 동안의 소화관 촬영으로 약 5만장 이상의 정지영상을 생성한다.

수 만장의 영상을 의사가 일일이 판독하는데 1~2시간의 긴 시간이 걸린다. 또한 병변이 작거나 찍힌 영상 숫자가 적을 경우 판독자에 따라 진단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한희 여의도성모병원 교수 연구팀(서올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보인 교수, 포항공대 산업인공지능연구소 이승철 교수)은 인간에 의한 기존 영상 판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영상 판독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해 판독 정확도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은 2007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시행된 526건의 소장 캡슐내시경 검사에서 7556장의 영상을 추출했다. 추출된 영상은 대표적인 소장 병변인 출혈성 병변(적색 점, 혈관이형성, 현성 출혈)과 궤양성 병변(미란, 궤양, 협착)으로 분류했다.

이어 포스텍 산업 인공지능 연구실에서 개발한 영상 분석 특화 딥러닝 기법 중 하나인 VGGNet 기반의 컨벌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CNN) 알고리즘으로 영상을 분류하고 학습시켰다.

학습 단계에서는 출혈과 궤양 병변을 개별적으로 학습시키는 합성모델(Combined model), 전체 영상을 정상·비정상으로만 나눠 학습시키는 이분형모델(Binary model)의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했다. 또 개발된 모델의 검증비교를 위해 모델 훈련에 사용되지 않은 5760장의 소장 캡슐내시경 영상을 추가해 합성모델과 이분형모델의 판독 정확도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 두 모델 모두 96%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합성모델은 이분형모델에 비해 소장 병변을 더 잘 발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병변을 정확히 시각화 하는 것에서도 합성 모델이 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1 저자인 이한희 교수는 "이번 소장 캡슐 내시경 판독 알고리즘 개발로 인간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소장 병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소장의 정상·비정상 분류를 넘어 개별 병변의 특성을 판단하고 시각화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판독된 영상의 2차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실제 임상에서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향적 연구 진행과 첨단 의료기기로서의 상용화를 목표로 포스텍과의 공동연구를 계속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은 2005년 국내 최초 대학 간 공동 연구원으로 개원한 포스텍-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공학연구원의 주요한 연구 성과다. 병원 측은 이번 연구가 포스텍 생명공학분야의 연구력과 가톨릭대의 뛰어난 임상 노하우의 결합으로 이뤄낸 결과물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연구재단 임상의과학자 연구역량강화 사업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는 '다이제스티브 엔도스코피(Digestive Endoscopy. IF=4.774)' 2020년 8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