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보유세 모두 높은 기형적 세제.. '왜' 높아졌나

박영준 2021. 2. 16. 06: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부동산 세금 OECD 2위
2018년 이미 GDP 대비 4.05%
OECD 평균보다 2배 이상 많아
규제위주 세제, 매물 잠김 초래
집 있는 사람 없는 사람 다 고통
부동산 지니계수도 지속 상승
자산 불평등 정도 갈수록 악화
“크게 보면 보유세는 강화하고, 거래세는 낮추는 것이 맞는 방향이라 본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월 신년 기자회견에서 부동산정책에 대해 한 말이다. 문 대통령은 다만 “거래세를 완화하는 부분은 길게 보면 맞는 방향이지만 당장은 취득세, 등록세가 지방재정, 지방정부의 재원이기 때문에 그 부분은 당장 낮추기가 어렵다”고 단서를 달았다.

보유세가 높아지는데 높은 거래세는 유지되는 한국의 기형적 부동산 세제가 문 대통령의 말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거래세와 보유세가 함께 늘면서 시장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15일 국민의힘 유경준 의원이 발표한 ‘2020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동산 보유세 추계 보고서’를 보면 한국은 GDP 대비 거래세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고, 보유세 비중도 회원국 중 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정부가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를 강화하는 동시에 거래세는 유지하면서 OECD 회원국 가운데 GDP에서 부동산 관련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GDP 대비 부동산 관련 세금 비중은 4.28%로 2018년(4.05%)보다 0.23%포인트 늘었다. 부동산재산세, 자산거래세, 순자산세, 상속증여세를 포함하는 자산세가 3.33%, 개인 양도소득세 비중 0.95%를 더한 수치다.
2018년 OECD 회원국의 평균 GDP 대비 부동산 관련 세금 비중이 1.96%였는데 한국은 2018년에 이미 회원국 평균치를 2배 이상 뛰어넘은 셈이다. 2018년 기준으로 GDP 대비 부동산 관련 세금 비중은 프랑스가 4.13%로 한국(2020년 기준)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고, 미국 3.97%, 룩셈부르크 3.85%, 캐나다 3.45% 등 순이었다. 일본은 2.59%를 기록했다.

부동산 관련 세금 비중이 높아진 데는 거래세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보유세가 급격히 상승한 영향이 컸다.

2018년 기준 한국의 자산거래세 규모는 GDP 대비 1.89%로 OECD 37개국 가운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전체 평균 0.45%의 4배가 넘는 수준이다. 부동산 거래세는 자산거래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여기에 종부세를 포함한 보유세 부담이 늘어나면서 부동산세 부담이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보유세와 거래세가 모두 높아 부동산시장 왜곡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김우철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는 “문재인정부가 보유세 강화 기준으로 OECD 평균 수준인 GDP 대비 보유세 비중 1% 수준을 목표로 했는데, 지난해 급격하게 OECD 평균 수준까지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보유세를 정상화하면 거래세를 낮추겠다는 당초 약속도 지키지 못하면서 보유세도 양도세도 높은 비정상적인 부동산 세제가 됐다”며 “지난해는 이른바 ‘패닉 바잉’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거래가 있었지만 현재와 같은 규제적인 세제에서는 당분간 매물 출회 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15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송파·강동구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남제현 선임기자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보유세가 오르면 세금을 내기 위해 팔고 떠나야 하는데, 양도세를 올리면서 발목을 잡은 상황”이라며 “토끼몰이식도 아니고, 올가미 작전처럼 아예 퇴로를 막으면서 증여가 늘어나는 부동산시장 왜곡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는 “조세가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발목 잡고, 집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다 같이 힘들게 하는 상황”이라며 “보유세를 올린다고 한다면 거래세는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이날 부동산자산의 불평등도가 심화했다고도 밝혔다.

유 의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추계한 결과 부동산자산의 불평등도를 보여주는 부동산자산 지니계수가 2017년 0.491에서 2018년 0.500, 2019년 0.507, 2020년 0.513으로 급격하게 나빠졌다.

총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 지니계수는 2017년 0.584에서 매년 증가해 2020년에는 0.602로 악화했고, 부채를 포함한 총자산 지니계수 역시 2017년 0.531에서 2020년 0.544로 양극화가 심해졌다.

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