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고용지표 역대 2번째로 최악..경제활동인구 전년比 17만명 감소

김동규 기자 2021. 2. 16.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경연 '2020년 고용상황 특징' 보고서..청년층 피해 심각
21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실업급여 신청자들이 서류를 작성 설명을 듣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 고용절벽이 청년 취업난을 가중시키면서 정부는 신규 구직세대를 위해 긴급·신규 일자리를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020.4.21/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지난해 주요 고용지표가 1998년 외환위기에 이어 역대 2번째로 최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2020년 주요 고용지표를 과거 경제위기(석유파동, 외환위기, 카드사태, 금융위기)당시와 비교한 결과다.

16일 한경연의 '2020년 고용상황 특징' 조사에 따르면 주요 고용지표가 1998년 외환위기 이래 최악 수준으로 파악됐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뉴스1

작년 경제활동인구는 2801만2000명으로 전년대비 17만4000명 감소했는데, 이 같은 감소폭은 1998년(35만4000명 감소)에 이어 2번째다. 15세 이상 인구가 28만1000명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로 비경제활동인구가 45만5000명이나 증가한 영향이다.

작년 취업자 수는 2690만4000명으로 21만8000명 감소했는데, 이 역시 1998년(127만6000명 감소)에 이어 2번째로 악화된 수치다. 실업자 수도 110만8000명으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49만명, 1999년 137만4000명 다음으로 높다. 실업률은 4%로 2001년(4%)이후 19년만에 가장 높았다.

일자리 질도 악화됐다. 장시간 일자리는 감소하고, 단시간 일자리는 증가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2011만2000명으로 120만3000명(-5.6%) 감소해 1998년(165만명 감소)에 이어 2번째로 많이 감소했다. 반면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595만6000명으로 55만4000명(10.3%) 증가했다.

자영업자의 경우 규모가 큰 자영업자는 감소하고 나홀로 사장만 증가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37만2000명으로 16만5000명(-10.8%) 감소해 1998년(24만7000명 감소)에 이은 2번째 감소폭을 보였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9만명 증가했다.

작년 연령별 취업자는 60세 이상만 증가(37만5000명 증가)했고, 나머지 연령은 청년(15세~29세, 18만3000명 감소), 30대(16만5000명 감소), 40대(15만8000명 감소), 50대(8만000명 감소)순으로 감소했다.

연령별 취업자는 2004년 이후 4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해 왔는데, 2020년 50대 취업자(635만6000명)가 사상 처음으로 40대 취업자(634만6000명)를 앞질렀다. 2011년 가장 비중이 적었던 60세 이상 취업자(507만6000명)는 청년 취업자(376만3000명)를 큰 폭으로 추월하고 30대 취업자(536만4000명)에 근접했다.

교육정도별 일자리를 비교하면 고졸 일자리 상황이 가장 악화됐다. 실업자 수는 대졸이상은 1000명 감소, 중졸은 7000명 증가한 반면, 고졸은 3만2000명 증가해 전체 실업자 증가의 약 70%를 차지한다. 2020년 고용률은 60.1%로 0.8%p 감소했는데, 대졸이상은 0.7%p 감소, 중졸은 0.4%p 감소한 반면 고졸은 1.9%p 감소해 전체 감소폭의 2배 이상을 기록했다.

2020년 비경제활동인구는 1677만3000명으로 전년대비 45만5000명이 증가했는데, 이는 2009년(49만4000명 증가) 이후 11년만에 최대폭이다. 이중 '그냥 쉬었음' 인구는 28만2000명 증가한 237만4000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다. 구직 단념자 또한 60만5000명(7만3000명 증가)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비경제활동인구 증가 중에서도 특히 20대 증가폭이 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청년 고용문제가 한층 심각해졌다. 2020년 전체 비경제활동인구 증감률(2.8%)에 비해 20대는 7.5%로 2.7배, 전체 '그냥 쉬었음' 증감률(13.5%)에 비해 20대는 25%로 1.9배 수준이다.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는 확장실업자와 확장실업률의 증가로 이어졌다. 공식실업자에 잠재적인 실업자를 포함한 체감실업자를 의미하는 확장실업자는 2020년 406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55만3000명 증가했다. 확장실업률은 13.6%로 1.8%p 증가해 양자 모두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청년층(15세~29세) 확장실업자와 청년층 확장실업률도 각각 121만2000명과 25.2%로 통계 작성이후 최대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가 지속·확산되고 일부 수출업종을 제외한 기업들의 경영부진이 계속되면서 지난해 일자리 상황이 심각하게 악화됐다"며 "고용 개선을 위해서는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규제완화, 경영환경 개선 등 민간경제 활력제고를 통해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뉴스1

d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