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이방원의 외교 전략 "먼저 나서 사태를 제압한다"

박현모 여주대 세종리더십연구소장 2021. 2. 16. 03: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현모의 실록 속으로]

조선의 군주 중에서 외교를 가장 잘한 사람은 누구일까? 주저 없이 태종 이방원(李芳遠)을 꼽겠다. 그의 방식은 한마디로 “선발제지(先發制之)”라는 말로 집약할 수 있다. ‘먼저 나서 사태를 제압한다’는 이 말은 정도전을 제거할 때를 회상하면서 태종이 쓴 표현이다. 실제로 그는 탁월한 정보력으로 사태를 파악한 다음, 상황을 유리한 쪽으로 이끌어 나가는 데 귀재였다. 이 방식은 명나라 황제 주원장(朱元璋)을 만났을 때도 발휘되었다. 몇 가지 장면으로 나눠서 살펴보자.

/일러스트=이철원

#장면1. 정안군 이방원의 이야기. ‘태조실록’ 3년(1394년) 11월 19일의 기록은 이방원이 중국에 가서 명 태조 주원장을 만나고 돌아왔음을 전한다. “우리 전하가 명나라 서울에서 돌아왔다[我殿下回自京師]”는 한 줄 문장은 태종의 외교 리더십을 함축하고 있다. ‘우리 전하’로 지칭된 이방원은 이날(11월 19일)로부터 약 5개월 전인 6월 7일에 명의 수도 난징(南京)행 길에 올랐다. 조선 외교문서의 용어를 문제 삼아 ‘조선 왕자를 보내라’는 주원장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 요구를 받은 태조 이성계는 고심 끝에 다섯째 아들 이방원을 불러 도움을 요청했다. “네가 아니면 황제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할 사람이 없구나.” 이방원으로서는 부왕의 요청을 거절할 수도 있었다. 만 리나 되는 중국 사행(使行)길이 위험할뿐더러 조선을 심하게 압박해 오는 주원장에게 무슨 험한 꼴을 당할지 알 수 없었다. 무엇보다 불과 2년 전인 1392년에 부왕 이성계는 건국의 일등 공로자인 자신을 제쳐놓고 이복동생 이방석을 세자로 책봉했다. 이성계가 ‘수척해진 이방원의 건강’을 염려한 것에서 보이듯이, 스물여덟 살 젊은 이방원은 깊은 배신감에 힘들어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방원은 “나라를 위하는 대계(大計)인데 제가 어찌 피하겠습니까?”라면서 아버지의 요청을 흔쾌히 받아들였다.

#장면2. 이방원이 만난 명 태조 주원장의 이야기. 1394년은 주원장이 명나라를 세운 지 27년째 되는 해였다.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 홍건적 두목을 거쳐 대륙을 석권하고 제위(帝位)에 오르기까지 산전수전을 다 겪은 67세의 주원장. 그즈음에 그는 확고한 요동 지배를 위해 그동안의 우호적인 태도를 바꾸어 조선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조선이 요동의 장수를 매수하고 여진족 수백 명을 조선 땅으로 유인해 갔다’고 질책하는가 하면, 외교문서의 어투를 문제 삼아 아예 국교 단절을 선언했다. 조선의 사신들을 요동에서 다섯 차례나 되돌려 보낸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조선의 왕자를 보내라”는 요구는 인질을 담보로 조선을 협박하겠다는 말이나 다름없었다.

그런데 ‘인질’로 온 조선의 왕자는 초면이 아니었다. 6년 전인 1388년에 고려의 이색을 따라왔던 이방원이 어엿한 조선의 왕자가 되어 다시 나타났다. 실록을 보면 주원장은 이방원을 두세 차례 불러 대화를 나누었다. 이방원은 우선 외교문서 속의 표현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詳明]. 외교문서에 “조선 국왕”이라 하지 않고 “조선국 권지국사(權知國事)”라고 적은 이유는 황제가 국호만 내려주고 왕의 작호(爵號)까지는 내린 적이 없어서 감히 왕이라고 일컫지 못한 것이라며, 이제 작호까지 허락한다면 기꺼이 사용하겠다고 말했다. 주원장 자신이 의혹을 품고 있던 문자 표현의 오해를 충분히 불식했다. 이방원의 말을 들은 주원장은 흡족해하며 “우대하는 예를 갖추어 조선으로 안전하게 돌려보내라”고 지시했다. 양국 간의 외교적 갈등이 원만히 해결된 것이다.

#장면3. 이방원이 귀국길에 만난 연왕 주체(朱棣)의 이야기. 명 태조 주원장의 넷째 아들 주체는 1394년 당시 군사가 제일 많은 베이징의 번왕(藩王)으로서 14년째 세력을 키워오고 있었다. 2년 전 황태자가 갑자기 병으로 사망하면서 대권까지 꿈꾸고 있었다. 주체는 훗날(1402년) 마침내 황제(영락제)에 오른다. 이방원이 조선으로 돌아오던 그때 주체는 주원장의 호출을 받아 난징으로 가던 길이었다. 실록을 보면 두 사람은 베이징 근처에서 마주쳤다. 급히 달리던[疾行·질행] 주체가 길가에 서 있는 이방원을 보고 수레를 멈추게[停駕·정가] 했다. 수레의 휘장을 젖힌 주체는 온화한 말로 이방원과 한참 동안 이야기하고는 지나갔다. 장차 조선과 명의 최고 권력자가 될 두 사람이 무슨 대화를 나눴는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때 형성된 두 사람의 호의와 신뢰는 양국의 국교 정상화와 협력 관계 유지에 밑거름이 되었다. 한반도의 지도자가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뛰어난 외교 역량이란 점을 새삼 깨닫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