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송합니다'..전공 명시한 청년 정책 절반 이상이 이공계열

최정훈 2021. 2. 15.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청년 정책 중 전공을 명시한 정책 절반 이상이 이공계열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을 설정한 정책 3개 중 2개 이상은 대학 재학생이나 졸업자 대상이었다.

청년정책을 많이 시행하는 기관은 고용노동부가 39개(16.3%)로 가장 많았고 △중소벤처기업부 23개(9.6%) △교육부 22개(9.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1개(8.8%) △국토교통부 20개(8.4%) 등의 순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용정보원, 한눈에 보는 전국 청년 정책
작년 기준 전국 청년정책 2930개..5개 중 1개 현금·현물 지원
전공 명시 정책 54% 이공계열..학력 명시 66% 대학생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청년 정책 중 전공을 명시한 정책 절반 이상이 이공계열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을 설정한 정책 3개 중 2개 이상은 대학 재학생이나 졸업자 대상이었다.

청년정책 지원대상 전공 계열(자료=고용노동부 제공)
한국고용정보원은 15일 이같은 내용의 지난해 전국 청년정책 현황과 특징을 정리한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지난해 전국에서 시행된 청년 정책은 총 2930개로 중앙정부 정책 239개(8.2%)와 지역자치단체 2691개(91.8%)였다. 전국 청년 정책 시행 기관은 총 271개로 중앙정부 기관이 31개(11.4%)로 나타났고, 지자체는 240개(88.6%)였다.

전체 정책 중 교육 수준을 제시한 정책은 501개였다. 이외에는 특별히 교육수준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교육수준을 설정한 정책 중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을 지원하는 정책이 335개(66.9%), 고교 재학생과 졸업생을 지원하는 정책은 55개(11%)로 나타났다.

자격 및 우대 요건으로는 전체 2930개 중 104개의 정책만이 전공 계열 요건을 명시하고 있었으며, 이공계열을 위한 정책이 57개(54.8%)로 가장 많았다. 각 정책의 취업 요건을 살펴본 결과, 취업 상태 요건을 설정한 1712개 중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886개(51.8%)로 가장 많았다.

학력별로 대학생 대상 정책(66.9%)에 비해 고교생 대상 정책(11%)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고, 전공별로는 지나치게 이공계열 중심의 정책(54.8%)이 편중돼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정책별 지원대상 연령은 10~30대 대상 정책이 1600개(59.5%)로 가장 많았다. 특히 대전은 55개(91.7%)로 대다수 정책이 10~30대를 대상으로 했다. 연령에 제한을 두지 않은 지자체 정책 비율은 △경남 58.3% △전남 56.5% △전북 54.4% 등의 순이었다.

청년정책 정보를 기준으로 서비스 성격을 유형화한 결과, △교육훈련 제공 정책 636개(21.7%) △현금지원 507개(17.3%) △취업처 제공 359개(12.3%) △창업 종합서비스 278개(9.5%) △일반 종합서비스 208개(7.1%) △현물지원 174개(5.9%) 등의 순이었다.

청년정책을 많이 시행하는 기관은 고용노동부가 39개(16.3%)로 가장 많았고 △중소벤처기업부 23개(9.6%) △교육부 22개(9.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1개(8.8%) △국토교통부 20개(8.4%)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전북 373개(13.9%) △경기 318개(11.8%) △서울 294개(10.9%) △경남 269개(10.0%) 등의 순이었다.

한편 고용부와 고용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청년센터는 전국 청년정책과 공간정보를 한데 모아 제공하는 사이트다. 지역·유형별 맞춤형 검색을 통해 본인에게 알맞은 정책을 확인해볼 수 있으며, 카카오톡·게시판·전화 등을 통해 무료 진로·취업 상담도 받아볼 수 있다.

고재성 고용정보원 청년정책허브센터장은 “2020년 청년정책 현황 분석 결과 중앙 및 지방정부가 다양한 청년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 및 전공에 따른 정책의 편중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청년정책 지원 서비스 유형별 분포(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최정훈 (hoonis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