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의 0.3% '10억 자산가' 그들은 누구? [차이나는 중국]

김재현 전문위원 2021. 2. 14.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00만 위안 자산가들 직업, 부동산·주식 투자자가 20% 수준

[편집자주] 차이나는 중국을 불편부당한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 2010년 베이징에 있을 무렵, 새 아파트로 이사한 중국 친구 집에 놀러 간 적이 있다. 베이징 시내였지만, 교통은 다소 불편해서 지하철역에 내려서 자전거를 타고 5분쯤 가야 하는 지역이었다. 그래도 새 아파트에 고급 인테리어를 해서 집 내부는 무척 좋아 보였던 기억이 난다. 문득 궁금해져서 중국 친구한테 모바일 메신저인 위챗으로 아파트 가격을 물었다. 그때 가격은 제곱미터당 4만 위안(약 680만원) 정도였는데, 지금은 약 13만 위안(약 2200만원) 이란다. 약 10년 동안 100제곱미터인 아파트 가격이 400만위안(약 6억8000만원)에서 1300만 위안(약 22억1000만원)으로 세 배 넘게 오른 셈이다.

지난 8일 중국 부자연구기관인 후룬연구원에서 ‘2020 후룬 부자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본토에서 600만 위안(약 10억2000만원) 이상의 자산을 가진 부유층은 399만호에 달했다. 1000만 위안(약 17억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상위 순자산’ 가구는 161만호, 자산규모가 1억 위안(약 170억원) 이상인 ‘초상위 순자산’ 가구는 10만7560호에 달했다.

더 위로 올라가면 자산규모가 100억 위안(약 1조7000억원) 이상인 기업가는 1250명이었고 1000억 위안(약 17조원) 이상인 기업가도 60명에 달했다.

중국 부자도 4대 도시에 집중
지역 별로는 14억 인구를 가진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이 1위를 차지했다. 600만 위안이상의 부유층은 베이징이 71만5000호로 1위를 차지했다. 중국 경제 수도인 상하이가 61만1000호로 2위를 차지했고 다소 격차를 두고 광둥성 이웃도시인 선전(17만4000호)이 3위, 광저우(16만6000호)가 4위를 차지했다. 광둥성에 위치한 선전에는 텐센트, 화웨이, BYD 등 중국의 미래를 이끌 기업들이 포진해 있다.

자산 1000만 위안 이상의 ‘상위 순자산’ 가구도 베이징(29만4000호), 상하이(25만5000호), 선전(7만5700호), 광저우(6만8900호) 순이었다.

중국 부자들은 부동산 가격 상승의 혜택을 많이 입었다. 앞서 말한 필자의 중국 친구가 2010년 무렵 주택담보대출 60%를 끼고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가정해보자.

아파트 구매 당시에는 아파트 가격 400만 위안(약 6억8000만원) 중 대출금액이 240만 위안(약 4억원)을 차지했다. 하지만 지금은 아파트 가격이 1300만 위안(약 22억1000만원)으로 급등했으니 대출금을 전혀 안 갚았다고 가정해도 순자산은 1060만위안(약 18억원)으로 커진다.

자산 1000만 위안 이상을 가진 ‘상위 순자산’ 가구는 어떤 사람들일까. 우선 사업가가 60%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다국적기업이나 대기업의 고위경영진이 약 20%를 차지했다. 중국 부동산 시장의 장기 상승 영향으로 부동산 투자자 비중도 10%에 달했고 최근 중국 증시가 많이 오른 사실을 반영하듯 전업투자자도 10%에 달했다.

중국 부자의 높은 소비성향
‘2020 후룬 부자보고서’ 중 가장 눈에 띄는 건 중국 부자의 높은 소비성향이었다. 이들의 연간 소비규모는 총 자산의 4.4%에 달했다. 전년 대비 0.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주요 소비대상은 여행, 사치품, 건강 및 엔터테인먼트였다.

향후 3년 동안 증가할 소비로는 건강(46%), 여행(44%), 자녀교육(43%)을 손꼽았다. 향후 3년 동안 구매할 품목으로는 자동차(50%), 시계(42%), 보석(38%)을 골랐다.

한 가지 눈여겨볼 건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여행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중국 내 사치품 소비가 급증한 사실이다. 지난해 2분기부터 루이뷔통을 포함한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의 중국 매출액이 대부분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부유층이 가장 좋아하는 자동차 브랜드는 포르쉐, 가장 좋아하는 시계는 파텍필립, 가장 좋아하는 보석 브랜드는 불가리였다.

현재 중국 본토 사치품 소비시장은 글로벌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으나 5년 뒤 50%까지 증가할 것으로 후룬연구원은 전망했다.

후룬연구원을 만든 후룬(胡润) 원장은 "중국 상위 소비계층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중국에서 1000만 위안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가구가 160만이 넘는데, 지난해 이들의 소비규모가 3조위안(약 510조원)에 달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체 중국 인구의 0.3%가 3%에 달하는 중국 GDP를 창출했다”며 “이들이 선도하고 있는 소비 트렌드를 3~5년 후 시장이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에서 600만 위안의 자산을 가진 부자는 중국 인구의 약 0.3%에 불과하다. 그리고 그들이 14억 인구를 가진 중국 소비 트렌드를 변화시키고 있다.
[관련기사]☞ 여배구 이어…OK금융그룹 "송명근·심경섭 학폭 사과""걸친 것만 835만원?" 블핑 지수, 아찔한 코르셋 패션존 리 "주식 팔아야 할 때는…" 韓 워렌버핏의 투자전략'1m 목줄'에 묶여…시골개의 하루를 보냈다폭등론자였던 차트쟁이도 팔았다…"서울 집값 대폭락"
김재현 전문위원 zorba0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