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에 한 달 빨라진 개구리 산란..'경칩'도 '입춘'도 옛말

이상화 기자 2021. 2. 12. 20: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11년 전보다 27일 빨라져..12월 평균기온 매년 0.18도 높아져

기후변화 연구진들과 활동가들은 항상 같은 고민을 합니다. 기후변화는 점점 빨라지고 있지만, 사람들이 깨닫게 하기는 쉽지 않다는 거죠. 기후변화보다 일상의 고민거리가 클 수밖에 없으니 당연합니다. 평균 기온이 높아진다, 이상 기후가 늘어나고 있다는 '공포' 마케팅은 이제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몇 가지 정책을 바꿔서 단기간에 해결할 수도 없는 문제입니다.

그래도 연구진들과 활동가들은 가만히 있을 수는 없다고 말합니다. 계속해서 자료를 모읍니다. 조그만 변화들을 기록합니다. 그리고 끊임없이 일반인에게 알립니다.

이번 설날 발표된 국립공원공단의 보도자료도 이런 노력 중 하나입니다. 이번엔 개구리의 산란 시기입니다.

자료에 등장한 개구리는 북방산개구리로 우리나라 전역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대마도에 분포하는 쉽게 볼 수 있는 개구리입니다. 그런데 특징이 있습니다. 1년에 한 번 알을 낳는다는 겁니다. 알을 언제 낳는지, 얼마나 알을 낳는지 관찰이 비교적 쉽습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과학자들은 북방산개구리의 산란 시기를 관찰하기 시작했습니다.

북방산개구리의 성체. 북방산개구리는 우리나라 전역에 살고 있고 산란 일자가 1년에 한 번입니다.

결과는 단순하고도 강력합니다. 산란 시기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는 겁니다.
지리산 연구진들은 북방산개구리의 산란 시기를 11년간 관찰하고 있습니다. 산란 시기는 10년 전보다 한 달가량 빨라졌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추세가 분명합니다.
빨라지고 있는 북방산개구리 산란일. 11년 전보다 27일 빨라졌습니다. 1월에 산란이 확인된 건 지난해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입니다.

2010년엔 첫 산란 일이 2월 22일이었습니다. 올해는 1월 26일입니다. 약 한 달 정도 빨라진 겁니다. 1월에 산란이 확인된 건 지난해에 이어서 올해가 두 번째입니다.
24절기 중 개구리가 잠에서 깬다고 표현하는 '경칩'이 있습니다. 3월 5일이죠. 10년 전만 해도 완전히 맞진 않지만, 어느 정도는 일치했죠. 하지만 10년 만에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이제는 2개의 절기가 앞선 '입춘'(2월 4일)보다도 더 빨리 개구리가 잠에서 깨고 산란을 시작하고 있는 겁니다.
북방산개구리의 모습. 이제 개구리가 잠을 깬다는 '경칩'은 옛말이 된 것 같습니다.

북방산개구리는 겨울철 날씨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연구진들은 수없이 반복해온 결론을 또 내놓습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연구를 진행한 지리산 구룡계곡의 12월 평균기온은 0.18도씩 높아지고 있습니다. 11년 전보다 1.2도 높아졌습니다.

이제 이런 증거들은 차고 넘칩니다. 이렇게 기후변화 관찰을 위해 연구하는 생물들은 '기후변화 생물 지표종'이라고 합니다.

체온 조절 시스템이 없어 다른 생물에 비해 기후 변화 영향을 크게 받는 나비류와 우리나라 고유종 어류, 그리고 제비와 동백나무 등입니다.

연구에 참여하는 일반인들의 모습. 시민과학이란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생태계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이런 연구에 참여하는 일반인들도 늘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은 광범위한 지역에서 동시에 나타나죠. 소수의 연구자만으로는 연구를 진행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때문에 등장한 방법이 시민과학자의 참여입니다. 평범한 사람들이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활용해 연구 과정에 함께 참여하는 겁니다. 시민과학자들과 연구진이 SNS에 관찰될 내용을 올리면서 함께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이들은 또 다른 기후 변화의 증거들을 계속 찾아 나갈 겁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