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가계대출 10조 늘어 역대 최대
금융당국이 대출을 옥죄어도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계속되며 가계대출이 역대 1월 기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집값 상승, 주식 투자 열풍 등 영향에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일제히 증가하며 새해 첫 달부터 은행권 가계대출이 8조원 가까이 불어났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96조4000억원으로 전달 대비 7조6000억원 늘며 1000조원 돌파를 눈앞에 뒀다. 1월끼리만 비교하면 2004년 통계 작성 이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날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은행권을 포함한 전 금융권 가계대출도 1월 기준 10조1000억원 증가해 역대 최고 증가폭을 보였다. 전월 가계대출 증가액(8조8000억원)보다 14.8% 늘어나면서 증가액 추이가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김정환 기자]
1월 가계대출 증가폭 최대
다음달 대출강화대책 앞두고
수요 몰려 전달비 10조 불어
은행권 대출 전달비 13% 늘 때
제2금융 등 비은행권 19% 쑥
부실률 높아 '경제뇌관' 우려
집값 상승과 주식에 베팅하는 수요가 늘자 1월 기준 역대 최다 증가폭을 보이며 고삐가 풀린 듯 움직이고 있다.
10일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권을 포함한 전 금융권의 지난달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10조1000억원 불어났다.
최근 가계대출 동향은 금융당국 규제를 피해 비은행권과 신용대출 등 향후 부실 가능성이 큰 부문으로 갈아타고 있다는 게 특징이다.
전문가들은 "일단은 수출이 선방하며 우리 경제가 버티고 있지만 이 이상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빨라지면 한국 경제를 뒤흔들 뇌관이 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감을 표했다.
지난달 가계대출을 업권별로 분석해 보면 은행권보다는 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에서 증가율이 더 높았다.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한 비은행권에 대출에 몰렸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10~11월 전국 주택 거래가 늘면서 시차를 두고 대출 수요가 이어졌고 개인의 주식 투자를 위한 자금 수요가 대출 증가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지난달 대출 증가액 10조1000억원을 세부적으로 쪼개 보면 은행권은 7조6000억원, 비은행권은 2조5000억원 늘었다.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전달 증가액인 6조7000억원보다 9000억원(13.4%) 늘어났다. 비은행권 증가액은 전달 2조1000억원에 비해 4000억원(19%) 늘었다.
은행권보다 비은행권에서 대출 증가율이 더 높은 것은 은행권 대출이 막힌 저신용자들이 저축은행, 캐피털 등 제2금융권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아졌음을 뜻한다. 통상 제2금융권 부실률이 은행권보다 높다는 것을 감안하면 향후 부실 확대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가계대출 중 비은행권 대출 항목을 분석하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비은행권 주담대는 1월에 8000억원 늘어났는데 이는 전달(4000억원) 대비 100% 늘어난 수치다. 비은행권 신용대출은 1월에 7000억원 늘어나 전달(4000억원)보다 75% 늘었다.
지난달 가계대출이 급증한 데는 다음달 금융당국 대출 강화(가계대출 선진화 방안)를 앞두고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도 한몫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오는 3월 상환능력을 대출 기준으로 삼는 이른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중심의 가계대출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이는 가계대출을 더 까다롭게 한다는 점에서 많은 금융 소비자가 미리 마이너스통장 등 대출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불안한 지각판 위에 놓인 한국 경제가 가계부채 위험을 흡수할 수 있을 정도로 탄탄하지 않다는 점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1.1%로 전년 동기 대비 7.4%포인트 불어났다. 사상 처음으로 가계부채(1940조원)가 나라 경제 규모(1918조원)보다 커진 것이다.
한은은 대폭 늘어난 빚이 자산시장으로 흘러간 가운데 갑자기 버블이 꺼지는 강한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기업은 66조8000억원에 달하는 경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실물경기 회복이 지연되는 만큼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하기는 이르다"며 "전체 신용을 무리하게 줄이기보다는 신용 공급 확대 속도를 조절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원섭 기자 /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알바 끊긴 20대 `쓰레기 줍기` 공공근로 노인들과 일자리 경쟁
- 확산하는 `빚투` 불길…제2금융권으로 번져
- "요즘 증권사 창구에 엄마들 줄섰다"
- 신한銀은 `커플메이커`…40번째 커플, 결혼 성사시켜
- 비대면 설에 세뱃돈 `뚝`…한은 화폐 공급 15% 급감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스멀스멀 떠오르는 엔비디아 ‘저평가론’
- “필리핀서 마약” 고백은 사실…김나정, 필로폰 양성 반응 [MK★이슈]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