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는 선택 아닌 필수" 속도내는 기업들

김강한 기자 2021. 2. 10. 03: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화큐셀 태양광발전소 추가 설치
LG화학 매년 재생에너지 구입
SK 배터리공장엔 친환경 전기

태양광 기업인 한화큐셀이 국내 사업장에서 쓰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고 9일 발표했다. 충북 진천·음성에 있는 사업장 부지 안에 태양광 발전소를 추가 건립해 전력을 조달하거나, 외부에서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한국전력으로부터 구입하겠다는 것이다. 같은 날 LG화학도 연간 120GWh(기가와트시)의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입했다고 밝혔다. 120GWh는 2만8000여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재생에너지 전기를 사려면 추가로 요금을 내야 한다.

한화큐셀은 2050년까지 국내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그 일환으로 충북 진천 한화큐셀 태양광 전지 제조공장(위 사진) 옥상에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했다. /한화큐셀

국내 기업들이 속속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친환경에너지 도입 속도가 빨라지면서 국내 산업계에도 재생에너지 도입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연합(EU)·미국을 중심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새로운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재생에너지 전환은 필수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전환은 필수 과제

현재 전 세계 기업들 사이에선 ‘RE100’(Renewable Energy 100%)이라는 캠페인에 대한 참여 열기가 높다. 2050년까지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대체하고 탄소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캠페인이다. 2014년 국제 비영리단체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이 뉴욕 기후주간(Climate Week NYC) 행사에서 처음 소개했다. 이후 애플·구글·마이크로소프트·GM·이케아 등이 선도적으로 캠페인에 가입하면서 가입 기업 수가 2018년 160사에서 현재 280사로 늘었다. ’2050탄소중립'을 선언한 국가도 미국·캐나다·뉴질랜드·일본을 포함해 총 120국에 이른다.

전 세계적인 탈탄소 추세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앞다퉈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앞서 SK그룹 내 계열사 SK㈜·SK텔레콤·SK하이닉스·SKC·SK머티리얼즈·SK실트론은 더 클라이밋 그룹에 RE100 가입을 신청해 지난해 12월 한국 기업 최초로 승인을 받았다.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도 9일 충북 증평·청주공장의 배터리 분리막 생산라인에서 100% 친환경 전기를 사용하겠다고 발표했다. SKC의 글로벌 화학사업 합작사 SK피아이씨글로벌도 재생에너지 전력을 울산공장에서 활용해 RE100에 동참한다고 9일 밝혔다. 우리금융그룹도 지난해 말 ’2050년 탄소중립 금융그룹'을 선언하면서 앞으로 석탄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를 중단하기로 했다.

◇기업들 “탄소중립이 새로운 환경 규제”

하지만 업계에선 탄소중립은 피할 수 없는 목표지만 지나치게 속도가 빠를 경우 새로운 환경 규제로 작동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실제 유럽연합은 모든 사업 과정에서 기업들이 환경을 침해하는 활동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는 의무를 부과하는 법률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위반할 경우 벌금을 내거나 배상을 해야 한다. 적용 대상은 EU 소재 기업뿐 아니라 EU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까지 포함된다.

이에 대해 유럽 대표 경제 단체인 ‘비즈니스유럽’은 최근 “이번 조치가 기업에 과도한 부담을 초래한다”는 입장문을 냈다. 한국무역협회도 “글로벌 가치사슬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환경에서 모든 납품업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일일이 체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EU가 추진하는 강제 의무는 기업의 행정적·법적 위험을 과도하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하청업체의 경영 자율성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EU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는 탄소국경세(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나 기업에 부과하는 관세)가 2023년 국제 사회에서 도입될 경우 한국은 미국·EU·중국에 수출하는 철강·석유·배터리·자동차 등 주요 업종에서만 연간 약 5억3000만달러(5900억원)를 탄소국경세로 지불해야 한다. 재계 관계자는 “앞으로 탄소 관련 규제가 어떻게 강화될지 알 수 없다”면서 “유럽과 달리, 제조업 기반의 우리나라에게는 새로운 무역장벽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