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환생 사이 100일의 기록[현장에서/곽도영]

곽도영기자 2021. 2. 10.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칼바람이 불던 지난해 12월 초, 본보 히어로콘텐츠팀은 다시 부산에 갔었다.

39세에 사고로 부산대병원에서 뇌사 판정을 받고 심장과 신장 두 개를 기증한 고(故) 손현승 씨를 취재한 지 한 달여 만이었다.

100일 동안 취재팀은 현승 씨 어머니를 비롯해 故 고홍준 군의 아버지(2화), 故 김기석 군의 아버지, 故 박승현 씨의 어머니, 故 박주언 씨의 아내(이상 5화), 그리고 기사에 담지 못한 수많은 기증인과 기증인의 가족들을 만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히어로콘텐츠/환생]

칼바람이 불던 지난해 12월 초, 본보 히어로콘텐츠팀은 다시 부산에 갔었다. 39세에 사고로 부산대병원에서 뇌사 판정을 받고 심장과 신장 두 개를 기증한 고(故) 손현승 씨를 취재한 지 한 달여 만이었다. 현승 씨의 책상 위에 어머니는 여전히 매일 아침 아들의 밥상을 차리고 있었다. 김해에 있는 묘원 돌상 위에도 샌드위치와 캔맥주, 쥐포 같은 것들을 매일 새로 올렸다. “평소에도 엄마 힘들다고 맨날 이런 걸 즐겨 사왔었어…”라고 어머니는 읊조렸다.

지난해 동아일보 창간 100주년을 맞아 꾸려진 히어로콘텐츠팀 2기의 ‘환생’ 시리즈가 9일 마무리됐다. 총 7화에 걸쳐 보도된 ‘환생’은 사랑하는 가족과의 영원한 이별 앞에서 다른 이들에게 생명을 이어준 뇌사 장기기증의 현장을 담았다.

100일 동안 취재팀은 현승 씨 어머니를 비롯해 故 고홍준 군의 아버지(2화), 故 김기석 군의 아버지, 故 박승현 씨의 어머니, 故 박주언 씨의 아내(이상 5화), 그리고 기사에 담지 못한 수많은 기증인과 기증인의 가족들을 만났다. 이들은 모두 우리네 일상 속 평범한 사람들이었지만 애끊는 작별의 순간에 다른 이들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숭고한 선택을 했다. 그리고 그 뒤에 남은 아픔 역시 오롯이 감당해내고 있었다. 우리 사회의 영웅들은 조용히, 가장 평범한 모습을 하고 있다는 걸 ‘환생’을 취재하며 느꼈다.

‘환생’ 1화를 통해 보도된 손봉수(왼쪽), 손현승 씨 형제.
시리즈가 보도되는 내내 많은 독자들의 응원과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취재팀으로서 가장 감사했던 건 기증 이후 남겨진 가족들이 기사를 통해 위로받았다는 말을 전해 올 때였다. 또 댓글에서나마 간접적으로 이식인이나 다른 기증인 가족들을 만나 서로를 보듬을 수 있었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였다. 현행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상 기증인 가족과 이식인은 서로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게 돼 있다. 이번 시리즈가 가족을 보내고 외로운 섬처럼 남아있던 이들에게 마음으로나마 연결고리가 되어줄 수 있었다는 점에 감사했다.

보도 이후 어느 날 밤 故 고홍준 군의 아버지 전화가 취재팀에 걸려왔다. “홍준이 이야기 잘 전해줘서 고마워요… 정말 고마워요”만 반복하는 아버지의 목소리에 울음과 취기가 섞여 있었다. 함께 전송해온 사진들에는 홍준이가 떠나기 전에 함께 낚시 갔던 모습, 형들과 장난치는 모습이 생생했다.

‘환생’이 단순히 또 하나의 구호로 끝나지 않고 이런 평범한 영웅들을 진심으로 돌아보는 마음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면, 그 파동들이 모여 우리 사회가 조금은 따뜻해질 수 있다면 하는 것이 취재팀의 바람이었다. 머지않은 미래에는 우리가 기증인을 함께 추모할 수 있는 공원 또한 마련되어 남겨진 이들이 그곳에 자랑스러운 가족을 찾아올 수 있는 날을 그려 본다.


곽도영 히어로팀 기자 now@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