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장관, 9회 '마무리 등판'..초구는 한·미 공조
[경향신문]
“비핵화 조기 달성 공동 목표”
“한·미 의견 조율 문제없다”
평화프로세스에 강한 의지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9일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정 장관은 현충원 참배로 첫 공식 일정을 시작한 뒤 서울 도렴동 청사에서 약식 취임식을 열고 곧바로 업무에 돌입했다.
정 장관은 사실상 현 정부와 임기를 함께해야 하는 마지막 외교장관이다. 문재인 정부가 외교안보 분야에서 성과를 남길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짓는 ‘마무리 투수’인 셈이다. 정 장관은 이날 취임식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정의용 외교부’는 새로 출범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와 정책 조율을 통해 한·미 동맹을 재확인하고 조속한 북·미 대화 재개를 모색하는 것에 역량을 집중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 장관 앞에 놓인 외교 현실은 녹록지 않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해서는 미국과의 협력·공조가 절실하다. 하지만 북한 문제는 바이든 정부의 정책적 우선순위에서 상위에 있지 않은 데다 아직 대북정책을 구상하는 단계다. 조속한 시일 내에 가시적 성과를 얻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무역분쟁으로 시작된 미·중 갈등이 체제와 이념 경쟁으로 확대되는 상황이어서 미·중 사이에서 국익을 지켜내는 외교를 지향하는 것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일본군 위안부 판결 등 악재가 난마처럼 얽혀 있는 한·일관계 회복, 코로나19 대응 등 난제도 산적해 있다.
정 장관은 이날 기자단과의 상견례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가급적 조기에 달성하는 것은 한·미 간 공동의 목표”라며 “최근 한·미 간에 여러 가지 어젠다가 있지만 동맹관계가 굳건하기 때문에 다소 상이한 의견이 있다 하더라도 조율하는 데 크게 문제가 없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미·중 갈등 상황에 대해서는 “미·중 간에 이익이 합치하는 부분이 있다”며 “예를 들면 기후변화나 최근에 방역, 한반도에서 평화 구축이라든지 그런 분야에서 우리가 미·중 간에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특히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호주·인도·일본의 전략적 협력체인 ‘쿼드’ 참여와 관련해 “개방적이며 포용적이고 또 국제규범을 준수한다면 어떠한 지역협력체 또는 구상과도 적극 협력할 수 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정 장관은 1972년 외무부에 입부해 주미대사관 공사와 주이스라엘 대사, 통상교섭조정관, 주제네바대표부 대사,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의원 등을 지낸 베테랑 관료 출신이다. 문재인 정부의 첫번째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 정부의 국정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역대 최고령 외교부 장관’ ‘통상 분야 관료 출신 최초의 외교부 장관’ 등 기록에서 알 수 있듯 정 장관이 최근 급변하고 있는 외교 업무 환경에 적응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 장관은 마지막 외교부 본부 근무가 2001년이어서 2002년 문을 연 도렴동 청사로 출근한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simo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