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사업장 친환경에너지로"..'한국형 RE100' 탑승한 화학·소재업계
한국형 RE100 일환, 재생에너지 전력 할당
글로벌 RE100대비 기준 완화, 진입장벽 낮춰
전력사용 많은 화학업계, RE100 전환 도전
한화·SK·LG ‘녹색프리미엄’ 낙찰…한국형 RE100 ‘첫걸음’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지난 8일 한국전력공사가 진행한 ‘녹색프리미엄’ 입찰에서 최종 낙찰을 받았다. 녹색프리미엄은 한전에서 운영하는 재생에너지 전력 구매 프로그램으로 태양광, 풍력, 수력 등의 재생에너지 전력을 추가 비용을 내고 할당 받는 방식이다. 전기요금에 재생에너지 전력 관련 요금이 추가되는 것으로 대량 전력소비 기업들이 친환경 에너지 확대를 위해 비용을 더 부담하는 개념이다. 이는 올해 처음 추진되는 정부의 한국형 RE100 제도다.
한국형 RE100은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 100%를 목표로 한다. 전기 소비 업체가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RE100 시스템’에 등록해 재생에너지 전력을 사용하고, 에너지공단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 확인서’를 발급받아 RE100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형 RE100 이행 수단은 △녹색프리미엄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직접 구매 △발전사업자와 직접 전력거래계약을 맺는 제3자전력구매계약(PPA) △신재생 발전사업 직접 투자 △자가 발전 등 총 5가지다. 이중 일부 요건을 갖추면 한국형 RE100에 동참할 수 있다.
한화큐셀은 이번 녹색프리미엄 낙찰을 시작으로 한국형 RE100 추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특히 한화큐셀의 경우 자체적으로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만큼 RE100 추진에 더 공격적으로 나설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녹색프리미엄으로 할당 받은 재생에너지 전력 규모는 기업 비밀상 공개할 수 없다”면서도 “우선은 녹색프리미엄과 자가 발전을 통해 RE100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되, 향후 제3자 PPA 등 타 이행수단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096770)의 소재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도 이날 녹색프리미엄 낙찰을 받으며 RE100 추진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공급받는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충북 증평·청주에 위치한 자사 리튬이온배터리 분리막 공장 등 국내 사업장에 사용한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국내 사업장의 100% 친환경 전력 사용은 물론, 향후 해외 사업장에도 순차적으로 재생에너지 전력 도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녹색프리미엄 외에도 PPA, REC 구매 등도 추진한다. SK그룹의 또 다른 화학사인 SK피아이씨글로벌도 녹색프리미엄을 통해 RE100에 동참키로 했다.
화학업계의 ‘맏형’격인 LG화학도 녹색프리미엄에 참여해 연간 120GWh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낙찰 받았다. LG화학은 앞서 화학업계 최초로 ‘2050년 탄소중립 성장’을 선언하고 전 세계 모든 사업장에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추진 중이다. LG화학은 해당 재생에너지 전력을 통해 의료용 장갑 원료인 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라텍스 등을 생산하는 여수 특수수지 공장과 오산 테크센터의 RE100를 달성하게 됐다. 더불어 전기차용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를 만드는 청주공장도 전력 사용량의 30%를 녹색프리미엄으로 조달한다.
인센티브 제도 확충돼야…화학업계 도전 기대
이번 녹색프리미엄 제도 시행을 기점으로 국내 화학·소재업계의 RE100 도전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당초 글로벌 RE100 캠페인은 국제단체인 ‘CDP위원회’ 주도로 2030년 60%, 2040년 90%, 2050년 100%라는 중간 이행목표를 설정하고 연간 100GWh 이상을 소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등 다소 엄격한 기준을 갖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추진 중인 한국형 RE100은 대상 기준이 없고, 중간 이행목표도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엄격한 기준을 내세우는 글로벌 RE100 캠페인보다는 다소 완화된 기준이라, 국내 기업들의 진입장벽이 다소 낮아졌다는 게 업계 판단이다.
업계에선 이 같은 화학·소재업계의 RE100 도전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선 정부 주도의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가 확충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아직까지 한국형 RE100의 경우 세부적인 기준, 인센티브 제도 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다. 한화, SK, LG 등 대기업들 외에도 중장기적으로 중소·중견업체들로까지 RE100이 전파되기 위해선 보다 전향적이고 과감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특히 전력 소비가 큰 화학·소재의 경우 다른 업종보다 재생에너지 전환에 드는 비용이 많은 만큼 업종 맞춤형 인센티브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에서도 현재 한국형 RE100 제도와 관련해 녹색 보증(신재생 발전사업 관련 보증) 확대, 공공조달 우대 등의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많은 기업들이 시도하기 힘든 녹색프리미엄 제도에 화학·소재업체들이 선도적으로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 정부가 RE100 관련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는 등의 유도책을 적극 추진한다면 업 특성상 전력 소모가 큰 화학·소재업계의 RE100 달성 도전도 점차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정유 (thec98@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위생 불량’ 어린이집 이번엔 '학대·폭언' 의혹…경찰 수사 착수
- 서울시립미술관 20대 공무원, 자택서 숨진채 발견, 왜?
- '싱어게인' 요아리 학폭 직접 부인…"최대한 대응할 것" [전문]
- "대법원장은 법원을 못 지켰다"…김명수 사태에 커지는 판사들 '자괴감'
- 정 총리 “화이자 백신 2월 말 또는 3월 초 국내 도입 예상”
- “아이 막고 고기 구워 먹은 교사들…어린이집은 지옥이었다”
- 2.4 부동산 대책에 "국민의 재산권과 거주 이전의 자유 침해"
- 유재석도 강호동도 아니다…스포츠 스타들이 예능으로 간 이유
- 강승연, 전 매니저 성추행 폭로.. "너무 떨렸다"
- '윤정희 방치' 논란 속 남편 백건우는 11일 귀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