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개혁 부르짖은 박제가.."길이 없으니 물자교환 안돼"
조선 실학파 학자 박제가도
"물자가 교환되지 않으니
백성이 곤궁한 삶 산다" 지적
박제가, 유통혁명을 부르짖다
일찌감치 유통과 물류의 중요성을 알아본 조선시대 학자가 있었어요. 그 사람의 이름은 박제가(朴齊家·1750~1805)입니다. 조선 영조·정조 시대 때 활약했던 실학파(혹은 북학파) 학자 중 한 명입니다. 박제가는 유통이 개선되어야 조선의 나랏살림이 그나마 나아진다고 봤습니다. 그가 정조에게 올린 ‘북학의(北學議)’를 보면, 그가 얼마나 조선의 유통과 물류의 개혁을 갈구했는지를 알 수 있어요. 한 대목을 읽어볼까요?
“영동 지방에는 꿀은 생산되나 소금이 없고, 평안도 관서 지방에는 철은 생산되나 감귤이 없다. 산골에는 팥이 흔하고, 해변에는 창명젓과 메기가 흔하다. 영남지방에는 좋은 종이가 나오고, 보은에는 대추가 많고, 한강 입구 강화에는 감이 많은데…백성들은 이런 물자를 서로 풍족하게 교환하여 쓰지 못한다. 우리나라는 동서로 1000리, 남북으로 3000리로 작은데 물가가 고르지 않다…물자를 교환할 도로와 수레가 없기 때문이다.”
도로와 수레가 없으니 물자가 교환되지 않는다
오늘날 경제용어로 말하면, 이렇다 할 유통망과 물류망이 없으니까 각 지방에서 나는 농산물과 특화물이 서로 거래되지 않고, 결국 모두가 곤궁하게 산다는 박제가의 절규입니다. 조선시대에 ‘배달의민족’이 있었으면, 각 지방이 도로로 잘 연결돼 있었다면, 물품들을 실은 수레(지금의 자동차)가 쌩쌩 달릴 수만 있었다면…. 박제가는 조선의 도로와 수레 사정이 당대 선진국인 청나라보다 훨씬 못한 것에 절망했습니다. 그래서 개혁방안을 정조에게 간절한 마음으로 올렸던 것입니다. 물론 박제가의 개혁안은 정조의 우유부단함으로 인해 실행조차 되지 않았습니다.
박제가의 꿈은 그로부터 200여 년이 흐른 1970년 ‘경부고속도로’라는 이름의 거대 유통망, 물류망의 뼈대로 실현됐습니다. 그 이후 박제가가 그토록 원했던 사통팔달 도로망은 갖춰졌고, 그 위를 자동차, 트럭, 냉동·냉장차, 트레일러, 고속버스가 질주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각 지역에서 나는 농산물은 이제 하루도 안 돼 유통되고 판매됩니다.
유통은 거래비용을 낮춘다
그런데 유통이 정말 중요한 이유는 뭘까요? 유통이 발달하면, 소비자와 공급자 사이에 발생하는 거래비용이 획기적으로 내려갑니다. 지금과 같은 물류 시스템이 없다면 우리는 감, 귤, 회, 고등어, 사과, 수박, 옷, 냉장고 등을 쉽게 사거나 싸게 먹지 못할 것입니다. 공급자들도 많이 팔기 어렵습니다. 유통망에 존재하는 중간상인, 도매상인들이 이 거래비용을 낮추는 데 한몫을 톡톡히 합니다.
우리는 도매상이나 중간상을 자주 욕합니다. 생산자도 아닌데 중간에서 이득을 보고, 이것 때문에 가격이 더 올라간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하지만 중간상이 없다면, 우리는 어떤 처지에 놓이게 될까요? 여러분은 아마도 먹고 싶은 것을 얻기 위해 생산지로 직접 가야 할 것입니다. 어머니가 고등어가 먹고 싶다고 하면, 여러분은 공부를 접고 어촌까지 가야 할 것입니다. 직접 간다고 해도 잡은 고기가 없어서 허탕 칠 수도 있습니다. 수박을 얻으려면 우리는 또 수박 산지로 직접 가야 합니다. 고등어 사러, 수박 사러 그렇게 돌아다녀야 한다면 자기 일은 언제 합니까?
이때 중간상인이 필요합니다. 이들은 소비자를 위해 먼 생산지에서 물건을 가져다 장에서 팔아줍니다. 산지→도매상→소매상→소비자를 거치게 되는 이유죠. 도매상은 물량을 일정하게 확보해서 공급하는 역할도 합니다. 이들이 없다면 거래비용은 엄청나게 높아질 겁니다. 그리스의 유명한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도 여러분처럼 ‘중간상인’과 상업을 못마땅해했습니다. 중간에서 이득만 본다고 비난했었죠. 상업을 천시했던 이유입니다. 이제 이런 시각이 잘못됐다는 점을 깨달으셨나요? 요즘은 인터넷 유통이 발달해서 산지→소비자 직통이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유통이 발달할수록 커져가는 갈등
유통의 진화는 갈등도 만들어내곤 합니다. 최근 불거진 재래시장(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간 갈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재래시장 사람들은 대형마트들 때문에 장사가 안된다고 주장하고, 대형마트들은 소비자들이 선택해서 오는 것일 뿐, 억지로 끌어온 것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여러분과 부모님들은 왜 재래시장보다 대형마트에 더 자주 갈까요? 무엇인가가 더 좋기 때문일 겁니다. 편리성, 접근성, 저렴함, 다양성, 안전성 등을 감안한 선택이죠. 여러분 즉, 소비자들의 선택은 나쁜 것일까요? 아니면 유통의 진화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일까요?
요즘엔 거꾸로 대형마트들이 죽겠다고 아우성입니다. 모바일 쇼핑과 온라인 홈쇼핑 때문에 장사를 망치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립니다. 모바일 쇼핑을 규제하면 될까요? 대형마트들을 보호하기 위해 매주 첫째·셋째 주말, 모바일 쇼핑과 온라인 쇼핑을 못 하게 규제할까요? 이젠 아마존 쇼핑까지 나와서 대형마트들을 괴롭히는 시대입니다. 집에서 음식도 배달해서 먹는 시대죠. 유통 혹은 물류는 4면에서 배운 것처럼 빠르게 진화해 왔고 앞으로 더 진화할 겁니다. 박제가 선생이 오늘날 대한민국 유통을 보면 놀라서 뒤로 자빠질 겁니다. 재화와 서비스, 정보가 물처럼 자유롭게 흐르는 나라, 대한민국입니다. 박제가의 꿈이 실현되었습니다.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dadad@hankyung.com
NIE 포인트
① 경부고속도로는 유통 측면에서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토론해보자.
② 박제가가 쓴 ‘북학의’ 번역서를 읽어보고 그가 꿈꾼 나라의 모습을 이야기해보자.
③ 거래비용과 유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중간상인의 역할을 따져보자.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00만원 일단 받고 보자"…국민취업지원제도 20만명 몰렸다
- 증시 활황 타고…한국도 '연금 백만장자' 나오나
- 개미들 어쩌나…올해 몰빵한 삼성전자 수익률은 '마이너스'
- 나경원 "신혼부부에 1억 보조금" 공약에…오신환 "나경영이냐", 羅 "조롱 말라"
- 부자 동네 당근마켓은 클래스가 다르다…"명품관 저리가라"
- '더 먹고 가' 최유라 "1조 매출? 변기에 앉아 울어" 워킹맘 고충
- 강승연 "매니저의 술자리 강요, 극단적 선택 생각도…" 충격 고백 [종합]
- 이혜성, 생얼에 산발 머리여도 예뻐…♥전현무 '좋아요'
- 안정환 "날 길들인 건 히딩크와 아내 뿐"
- [인터뷰+] 신세경 "32살에 결혼? '런 온' 기선겸 같은 사람이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