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일대에서 발견된 화려한 옥 공예품과 철 가공품..원조선의 산업과 문화는 춘추전국시대 못지않았다

2021. 2. 8. 09: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사 산책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36) 원조선의 산업

한국은 1962년 수출 1억달러를 돌파했다. 서울 남대문 옆 대한상공회의소 옥상의 전광판에 뜬 숫자를 확인하며 등교하던 까까머리 학창시절이 엊그제 같다. 500년간 농사만 짓던 사회가 공업과 무역을 국가 전략으로 택했다. 그 결과 2019년에는 무역액 1조달러를 넘어 세계 무역 8강, 세계 10대 경제대국이 됐다.

현생 인류는 초기부터 상업을 했고, 곧 원거리 무역을 했다. 3만년 전 호모 사피엔스 유적지(유럽의 중심부)에서 지중해나 대서양 연안으로부터 가져온 조개껍데기가 발견됐다. 뉴기니와 북부 뉴아일랜드섬에 살던 사피엔스는 칼날을 대신한 흑요석을 바다 건너 400㎞ 떨어진 뉴브리튼섬에서 가져왔다. 발트해의 호박, 지중해의 조개껍데기가 1500㎞ 내륙으로 들어간 홍적세 크로마뇽인 유적지에서 발견됐다(재러드 다이아몬드 《어제까지의 세계》). 그렇다면 만주와 화북 일대, 동아지중해권에서 근거리 무역이 활발했던 것도 당연한 일이다.

 고대 중국 능가한 원조선의 산업

강원 양양 오산리에서 출토된 흑요석. 백두산 지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사람들은 중국의 주나라나 춘추전국시대라 하면 엄청나게 발전한 사회로 안다. 반면 기원전 10세기 전후의 우리는 원시적인 수준이었으며, 산업도 외국 무역도 없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원조선은 제련술과 제철술 등 금속산업과 요업(세라믹)이 매우 발달해 뛰어나고 화려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기술력이 발전했고 지식과 경험을 활용한 실용과학 수준이 뛰어났던 결과다. 당연히 다른 분야 산업들도 동반 발전했다.

광업도 발달했다. 원조선의 영토였던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이 다양한 자원의 보고였기 때문이다. 1970년까지 북한 경제가 우리를 앞선 것은 일본이 건설한 중화학공업 잔재를 활용한 것 외에 풍부한 지하자원 때문이었다. 또한 왕험성 후보지의 하나인 고구려의 요동성과 안시성(해성) 지역은 동아시아 최대, 최고의 철 생산지였다. 일본이 만주국을 세운 뒤 ‘안산제철소’를 건설해 대륙 침략의 자원 공급지로 이용했다. 이 지역은 은 생산지로 유명하며, 북한은 원조선의 은광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철은 내수용으로 사용됐지만 수출품이기도 했다. 무기·농기구·동전 등의 완제품과 기술력으로 만든 철덩이(鐵鋌) 같은 1차 가공품들도 수출했다. 《후한서》 《삼국지》 등의 기록을 보면 원조선 말기에 남쪽의 삼한 소국들도 철을 화폐나 수출품으로 사용했다.

 정교하게 가공한 옥 공예품

중국 홍산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된 황옥으로 만들어진 옥누에 공예품.

원조선은 옥 광업이 발달했고 가공 기술도 뛰어났다. 동아시아 최고(最古) 최대 문명인 랴오허문명(遼河文明), 그 가운데에서도 핵심인 홍산(紅山)문화에 요즘 많은 관심을 갖는다. 신석기 문화지만 원조선과 연관성이 깊기 때문이다. 핵심 지표 유물은 옥 제품들이다. 정교한 가공술과 화려함, 다양한 종류의 도구·장식품에 담긴 풍부한 상징성과 고도의 논리, 많은 양과 뛰어난 가공기술 때문에 고대문명에 대한 통념을 깨뜨렸다. 만주 지역이 낙후됐고 문화가 열악했다고 여겼던 한국인들을 놀라게 했다.

그 옥의 산지는 압록강 하구 서쪽인 ‘수암(岫岩)’이다. 그렇다면 약 5000년 전에 남만주에는 원거리 무역망이 구성된 것이다. 이를 계승한 원조선의 만주에서 황해도에 이르는 유적에서 강옥·벽옥·연옥·홍옥·청옥·수정·마노를 비롯한 각종 구슬이 대량으로 발굴됐다. 대표 고분인 강상무덤에서는 대롱 구슬, 장고형 구슬, 둥글고 납작한 구슬 등이 무려 771개나 발굴됐다.

 수준 높은 비단 생산

또 하나 놀랄 만한 원조선의 산업과 무역품은 비단이다. 세계인들이 ‘실크로드의 주역’ 하면 중국 또는 한족을 떠올리지만 ‘서역’이라는 신장 지역조차도 페르시아계, 투르크계, 몽골계 상인들이 주역이었다. 우리는 거기에 더해 비단 제품은커녕, 문익점 이전에는 면제품도 없었던 것으로 안다. 신석기 시대인 홍산문화 유적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준 높은 옥누에 공예품이 발견됐다. 《후한서》 동이전에는 삼한 지역에서 기자가 동래하기 이전부터 누에를 키우고 비단천을 생산했다고 기록했다. 고구려 고분벽화나 중국 기록들을 보면 고구려인들은 옷, 모자(임금이 쓰는 백라관, 신하가 쓰는 청라관 등), 장식품 등에 다양한 종류의 비단을 사용했다.

 √ 기억해주세요

동국대 명예교수 사마르칸트대 교수

원조선은 제련술과 제철술 등 금속산업과 요업(세라믹)이 매우 발달해 뛰어나고 화려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기술력이 발달했고 지식과 경험을 활용한 실용과학 수준이 뛰어났던 결과다. 당연히 다른 분야 산업도 동반 발전했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