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딩 공연장에 앞뒤·양옆 1m씩 거리두기? 사실상 영업중단 명령"
[경향신문]
“숨조차 쉬기 힘든 한계 상황.” 지난달 29일 발족한 ‘대중음악공연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1년이 지난 지금을 이렇게 요약한다. 이들은 정부의 비현실적인 방역지침과 실효성 없는 지원대책 수정을 요구하며 공동대응에 나섰다.
현재 실내 스탠딩공연장은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지정한 ‘중점관리시설’이다. ‘일반관리시설’로 분류돼 ‘동반자 외 띄어 앉기’ 규칙을 적용받는 영화관이나 뮤지컬·연극·클래식 공연장보다 엄격하게 관리된다. 수도권 거리 두기 2.5단계가 적용 중인 8일 기준 ‘집합금지명령’은 해제됐지만 스탠딩 공연은 여전히 불가능하다. 단 좌석을 설치할 경우엔 오후 9시 전까지 공연이 가능하다. 이때도 좌석 간 2m(최소 1m)의 거리를 둬야 한다.
하지만 대중음악 공연장 관계자들의 반발은 이어지고 있다. 그나마 완화된 ‘최소 1m 거리 두기’ 지침도 실상 영업중단 명령과 다름없다는 것이다.
이용화 라디오가가 대표는 “1m면 두 좌석을 띄어 앉는 것이다. 100명 안팎의 공연장에서 좌우·앞뒤로 두 자리씩을 비우면 공연을 열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70% 이상 집객)도 맞출 수 없다”고 했다. 비대위는 “지난 1년간 대중음악 공연장에서 관객 간 감염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며 “최소한 타 장르 공연과 같은 기준으로 집객을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정부는 ‘온라인 공연’을 대안으로 내세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온라인 K팝 공연 제작 사업’에 265억원의 예산을 최종편성했다. 200억원은 K팝 스튜디오 조성에, 나머지 65억원은 온라인 공연 제작 지원에 쓴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현장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정부가 수백억원을 들여 새로운 공연장을 조성할 게 아니라, 온라인 공연을 하고 싶은 기존 민간 공연장에 장비나 인력을 지원하는 게 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코로나19 긴급지원’이라 이름 붙은 사업들도 ‘긴급지원’으로 보기 어려운 것들이 대다수다. 공연기획력 평가를 거쳐 상위 점수를 받은 일부만 지원받는 ‘공모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문체부 관계자는 “홍대 인디 뮤지션을 육성할 수 있는 사업들은 매년 진행해왔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이들에게 가점을 주긴 했지만 지난해도 큰 틀이 달라지지는 않았다”며 “기본적으로 국고가 지급되는 사업은 선정평가를 거치는 게 원칙”이라고 밝혔다.
온라인 공연이 지원 대책의 ‘전부’가 되어선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해 폐업한 브이홀 주성민 대표는 “지금처럼 무료 온라인 공연이 넘쳐나는 상황에선 돈을 주고 보라고 해도 관객들 관심을 얻기 쉽지 않다”며 “온라인 공연으로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건 블랙핑크나 방탄소년단처럼 국내외에 탄탄한 팬덤을 가진 극소수의 슈퍼스타 아이돌들뿐이다. 아직 살아남은 공연장들이 최소 1년은 버틸 수 있도록 장기적 관점에서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르포] 한국 대중 음악의 조용한 죽음… 26년간 홍대 인디씬 지켜온 롤링홀 가보니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르포]한국 대중음악의 조용한 죽음… 26년간 홍대 인디씬 지켜온 롤링홀 가보니
- ‘김문기의 추석 선물’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재명 ‘선거법 위반’ 판결문
- 조국 “민주주의 논쟁에 허위 있을 수도···정치생명 끊을 일인가”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민심의 법정서 이재명은 무죄”···민주당 연석회의 열고 비상행동 나서
- 40대부터 매일 160분 걷는 데 투자하면···수명은 얼마나 늘어날까?
- 드라마인가, 공연인가…안방의 눈과 귀 사로잡은 ‘정년이’
- 중학생 시절 축구부 후배 다치게 했다가···성인 돼 형사처벌
- 은반 위 울려퍼진 섬뜩한 “무궁화꽃이~”···‘오징어게임’ 피겨 연기로 그랑프리 쇼트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