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주의역사유적탐방] 병자호란과 삼전도비

남상훈 2021. 2. 5. 22: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의 역사에서 가장 추웠던 겨울은 언제일까? 필자는 1636년 12월에 일어난 병자호란에서 패배한 후 청의 요구로 항복을 상징하는 비석을 세웠던 1637년의 겨울일 것으로 생각한다.

조선의 왕이 오랑캐의 황제에게 항복하면서 받은 자존심의 상처는 눈발의 강추위보다 더 차갑게 다가왔을 것이다.

1963년의 홍수로 비석의 모습이 드러나자, 정부에서는 삼전도비를 반성의 역사로 삼자는 의미에서 원래 위치했던 곳 근처인 석촌동으로 옮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송파구의 삼전도비
조선의 역사에서 가장 추웠던 겨울은 언제일까? 필자는 1636년 12월에 일어난 병자호란에서 패배한 후 청의 요구로 항복을 상징하는 비석을 세웠던 1637년의 겨울일 것으로 생각한다. 조선의 왕이 오랑캐의 황제에게 항복하면서 받은 자존심의 상처는 눈발의 강추위보다 더 차갑게 다가왔을 것이다. 1637년 1월 30일 인조의 항복을 받은 청 태종의 공적을 찬양하는 비석을 세우게 했다. 비석의 문장을 누가 쓸 것인가부터 많은 논란이 따랐다. 청의 황제를 찬양하는 글귀를 쓰고 싶은 신하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급해진 인조는 당대의 문장가 이경석, 장유, 이희일에게 비문의 찬술을 명했고, 비문을 검토한 인조는 장유와 이경석의 글을 청나라로 보냈다. 두 편의 비문을 검토한 청나라는 이경석의 글을 채택하고 소략한 부분의 보충을 지시했다. 이경석은 국가의 안위를 생각하여 청의 비위에 맞게 비문을 다시 찬술하였지만, 크게 자책을 하였다고 한다. 이경석은 이 글을 썼다는 이유로 훗날 큰 비판을 받아야만 했다.

비석의 정식 명칭은 ‘대청황제공덕비(大淸皇帝功德碑)’로서 전서(篆書)로 쓰여 있다. 삼전도에 설치하여 ‘삼전도비’라고도 부른다. 높이 395센티미터, 너비 140센티미터이며 이수(?首)와 귀부(龜趺)를 갖춘 대형 비석이다. 비의 앞면 오른쪽에는 만주(여진) 문자, 왼쪽에는 몽골 문자, 뒷면은 한문을 새겼다. 삼전도비는 청일전쟁 이후인 1895년 고종의 명으로 쓰러뜨렸으나, 일제강점기인 1913년에 다시 그 자리에 세워졌다. 1956년에는 문교부 주도로 땅속에 묻는 등 비석의 수난은 이어졌다. 1963년의 홍수로 비석의 모습이 드러나자, 정부에서는 삼전도비를 반성의 역사로 삼자는 의미에서 원래 위치했던 곳 근처인 석촌동으로 옮겼다. 현재의 위치인 석촌호수 쪽으로 옮긴 것은 2010년이다. 삼전도비는 우리의 자존심에 큰 상처를 주고 있음이 분명하지만, 한편으로는 명분만을 내걸고 치르는 잘못된 전쟁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생생하게 기억시켜 주고 있다.

신병주 건국대 교수·사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