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매화가 피기를 기다리며

남상훈 2021. 2. 5. 22: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명의 태동을 알리는 꽃망울
조선시대 探梅는 고고한 취미
혹독한 겨울 버텨낼 한 가닥 빛
꽃 피면 암울한 나날도 끝날 것

봄의 문턱이라는 입춘을 바로 며칠 전에 함박눈과 함께 맞았다. 실제로 날씨가 풀려서 포근해지는 때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24절기 중에 입춘은 각별히 존재감이 넘친다.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는 글자를 대문에 써 붙이는 풍습을 보면 알 수 있다. 계절의 순환으로 볼 때는 며칠 후의 설날이 아니라 입춘이 한 해의 출발점이다. 동지에 최저로 떨어졌던 태양의 힘은 입춘부터 서서히 증가해가고, 얼었던 땅속에서는 생명의 기운이 꿈틀거린다.

옛 학자들은 동지부터 시작하여 다시 입춘이 올 때까지 내내 시를 쓰며 무언가를 애타게 기다렸다. 그것은 사람들의 감각을 깨우고 심장을 뛰게 하는 꽃, 매화다. 매화는 땅에 울리는 생명의 태동을 처음 감지하여 추위가 미처 가시기도 전에 향긋한 꽃망울을 터뜨린다. 방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글로 매화를 상상하며 겨울의 쓸쓸함을 달래던 학자들은 입춘 무렵이 되면 비로소 벌떡 일어나 문을 박차고 나선다. 직접 매화의 개화를 보러 떠나는 것이다.
이주은 건국대 교수 미술사
조선중기의 화가 김명국이 그린 ‘탐매도’(探梅圖)는 나이든 남자가 눈 덮인 산속에서 매화를 구경하는 장면이다. 남자는 일찍 핀 매화에 감동하여 추위도 잊은 채 발길을 돌릴 줄 모르고, 따라나선 시동은 한 손으로는 술병을 안고 다른 손으로는 언 귀를 감싸며 연신 덜덜 떨고 있다.

지금이야 매화는 봄에 피는 여러 꽃들 중 하나가 되어있지만, 한때는 꽃 중의 꽃이었다. 특히 퇴계 이황의 매화사랑 이야기는 유명하다. 매화 화분을 키우며 애틋한 정이 들었던 그는 서울 집을 떠나 고향으로 갈 때, 매화에게 이런 이별의 시를 남기기도 했다. “고맙게도 그대 매화 외로움을 나와 함께 하니,/ 나그네 쓸쓸해도 꿈만은 향기롭다네./ 귀향길 그대와 함께 못 가 한스럽지만,/ 서울 세속에서도 고운 자태 간직하게나.” 그가 죽는 순간 마지막으로 남긴 말도 “저 매화에 물을 주라”는 당부였다.

화가 김홍도도 가난하던 시절에 쌀과 땔감을 사러 시장에 갔다가 희한하게 생긴 매화에 매료되어 다 잊고 그것만 달랑 사서 집에 왔다고 한다. 덕분에 후대 사람들은 그가 남긴 매화그림을 볼 수 있어 감사할 일이지만, 그의 가족은 며칠간 얼마나 당황했을까 싶다.

조선시대에 책 읽고 쓰기를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탐매는 고고한 취미였다. 그들은 매화그림을 그린 병풍을 방에 둘러놓고, 매화 시를 새긴 벼루를 쓰고, 틈틈이 향기로운 매화차를 마셨다. 만개한 매화를 보며 친구들과 술잔을 비우며 한 사람씩 돌아가며 매화를 예찬하는 시를 읊기도 했다. 매화를 즐기는 동안 그들은 매화에게서 척박한 여건에 굴복하지 않는 의연한 자태라든가 추위를 맨 처음 뚫고 몸소 앞장서는 지도자의 자질을 발견했다. 매화의 우아함 배후에는 고난을 어떻게든 견뎌내야 한다는 감추어진 가치가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매화를 덕망이 높은 군자(君子)의 모습 중 하나라고 여기고, 항상 매화를 닮은 사람이 되고자 애썼다.

관직에 오르지 못한 사람이나 자리에서 밀려난 사람에게 매화의 개화는 또 다른 의미였다. 주위의 모든 것이 얼고 멈춰 버린 혹독한 겨울을 버텨낼 한 가닥 빛이었다고나 할까. 그들은 매화를 곁에 두고 수시로 자신의 고독을 함께 나누었을 것이고, 불확실하고 막막한 현실을 매화의 은은한 향기로 잠시나마 잊었을 것이다. 언젠가 이 상황이 다 지나고 나면, 언젠가 시험에 합격하고 나면, 그동안의 고통마저 다 흐뭇한 기억으로 남으리라는 희망으로 하루하루를 지탱했는지도 모른다. 매화의 개화는 그들이 버텨야 했던 시간을 달랠 수 있었던 유일한 위안이 아니었을까. 그러기에 너나없이 입춘이 되자마자 꽃봉오리를 찾아 그토록 눈밭을 헤매고 다닌 것은 아닌지.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이, 취업준비생부터 자기 집을 마련하려는 젊은이에 이르기까지, 매화가 피기를 고대한다. 매화의 개화는 춥고 암울한 나날의 끝, 소모적인 기다림의 완결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주은 건국대 교수·미술사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