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올해 임금 6.8% 인상 요구.."IMF 이후 최저치"

최정훈 2021. 2. 4.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올해 우리나라 근로자 임금인상 요구율을 6.8%로 하기로 했다.

한국노총은 4일 중앙집행위원회를 통해 올해 임금인상요구율을 월 고정임금 총액 기준(월 정액임금+상여금 월할액) 기준 6.8%(25만 6199원)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올해 임금인상요구율은 코로나19 상황으로 지난해 7.9%에 비해 1.1% 낮고, IMF가 발생한 1998년 4.7%, 1999년 5.5%를 요구한 이후 최저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노총, 올해 임금 6.8% 인상요구..월 25만원 수준
작년보다 1.1% 낮춰.."코로나19 상황 고려"
비정규직도 동일 수준 인상.."정규직-비정규직 격차 줄여"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올해 우리나라 근로자 임금인상 요구율을 6.8%로 하기로 했다. 금액으로는 월 25만 6199원으로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지난해보다 요구율을 낮췄다. 이번 임금인상 요구율은 IMF 이후 최저치이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사진=연합뉴스)
한국노총은 4일 중앙집행위원회를 통해 올해 임금인상요구율을 월 고정임금 총액 기준(월 정액임금+상여금 월할액) 기준 6.8%(25만 6199원)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올해 임금인상요구율은 코로나19 상황으로 지난해 7.9%에 비해 1.1% 낮고, IMF가 발생한 1998년 4.7%, 1999년 5.5%를 요구한 이후 최저치다.

이번 임금인상 요구율은 한국노총 표준 생계비인 504만 9905원(평균 가구원 수 3.14인 기준) 달성을 위해 필요한 근로소득 434만2919원(전체의 86% 수준)을 맞추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 금액에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인 1.0%도 반영해 월 438만 6348만원을 노동소득으로 충당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반면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임금은 374만 8537원이다. 노동소득 충족 생계비와 63만 7811원(17.0%)의 차액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이 목표액을 한 번에 달성하기 힘들고 물가상승률과 지난해 임금인상 타결률 등 현실적인 면을 고려해 생계비의 91.3% 충족 수준인 월27만 3744원(6.8%)을 요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비정규직 임금 요구율은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에 따라 정규직 월 임금총액 인상 요구액과 같은 25만 6199원으로 정했다. 이 금액은 비정규직 월 평균임금 171만원의 약 15%에 해당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수준을 좁히고, 궁극적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한국노총은 설명했다.

한국노총은 이번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이러한 임금인상 요구안과 함께 ‘연대임금전략’도 수립했다. 연대임금전략의 첫 단계는 ‘공동근로복지기금’ 설치를 제안했다. 이는 지역 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하청·중소기업을 연결하는 연합형 복지기금이다. 이 기금은 생산활동으로 발생하는 이익을 한 곳에 모아 근로자 복지 등에 쓰도록 해,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노동자가 이익을 공유하는 구조라는 설명이다. 공동근로복지기금을 출연하는 기업에 대해선 노사 합의에 따라 임금인상 요구율 6.8% 내 일정 비율을 실제 임금인상에서 제외해도 된다는 방침도 마련했다.

아울러 한국노총이 지난해 산하 노동조합 임금인상 요구율과 타결률을 조사한 결과 요구율은 5.8%였지만 실제 평균 임금인상 타결률은 2.9%로 조사됐다. 임단투 교섭기간은 평균 3~4개월이 소요된다는 응답(29.0%)이 가장 많았고, 조사대상의 50% 이상이 교섭 시작 후 평균 4개월 이내에 교섭을 마무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제공

최정훈 (hoonis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