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지역 언론에 문턱 낮추고 제휴 심사 공개해야"

권영은 2021. 2. 4. 15: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제주 4·3사건 행방불명인 수형자들에 대한 역사적 판결이 나온 것 아시나요? 경기·인천의 수도권매립지, 광주·전남의 5·18특별법 등 지역 언론에서 연일 써대는 주요 현안 기사가 어떻게 다뤄지는지 한번 보세요."

그는 "10여년 전 디지털화로 뉴스 장벽이 사라지고, 기사만 좋으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힐 것이라고 했지만 그 결과는 어떤가. 지역 언론을 배제한 포털이 뉴스 유통을 장악하면서 서울 집중만 더 심해졌다"고 덧붙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명래 지역신문노동조합협의회 의장 인터뷰
네이버·다음, 뉴스 제휴 맺은 지역 언론사 3곳뿐
지역 기사 사라져 뉴스 다양성 훼손
김명래 지역신문노조협의회 의장이 2019년 네이버 본사 앞에서 '뉴스 서비스 지역 차별 철폐'를 촉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김명래씨 제공

"최근 제주 4·3사건 행방불명인 수형자들에 대한 역사적 판결이 나온 것 아시나요? 경기·인천의 수도권매립지, 광주·전남의 5·18특별법 등 지역 언론에서 연일 써대는 주요 현안 기사가 어떻게 다뤄지는지 한번 보세요."

네이버·다음에서는 왜 지역 언론 기사를 찾아보기 어려운 걸까. 이 같은 문제의식은 포털의 언론사 진입과 퇴출 심사를 전담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에 대한 비판으로 쉬이 이어진다. 김명래 지역신문노동조합협의회 의장(언론노조 경인일보지부장)은 4일 한국일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제평위가 지역언론을 배제하면서 저널리즘의 다양성과 지역성을 훼손하고, 지역뉴스 사막화를 부추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뉴스 플랫폼으로서 포털이 가진 영향력은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0 언론수용자 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7명 이상(75.8%)은 포털에서 뉴스를 본다. 뉴스를 접하는 주요 경로로 TV(54.8%) 다음으로 포털(36.4%)이 꼽힌다. 인터넷 뉴스 사이트에 직접 접속해 뉴스를 보는 비율은 1.3%에 불과하다.

사실상 기사의 사활을 쥐고 있는 게 제평위다. 기사가 포털에서 검색(검색 제휴)되거나 별도 게시판을 제공(뉴스스탠드 제휴)받고, 전재료를 받으면서 기사를 제공(콘텐츠 제휴)하기 위해서는 제평위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현재 포털과 뉴스 콘텐츠 제휴를 맺은 지역언론은 강원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등 세 곳뿐이다. 경기·충청·호남·제주 지역을 대표하는 언론사는 한 곳도 없는 셈이다.

김 의장은 "서울에 기반을 둔 중앙언론도 지역 뉴스를 다루지만 비중이 작고, 지역언론과 서있는 자리가 달라 관점이 다를 수밖에 없다"며 "각지에서 중요한 일들이 많이 일어나는데 네이버에서는 그런 기사를 발견할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10여년 전 디지털화로 뉴스 장벽이 사라지고, 기사만 좋으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힐 것이라고 했지만 그 결과는 어떤가. 지역 언론을 배제한 포털이 뉴스 유통을 장악하면서 서울 집중만 더 심해졌다"고 덧붙였다. 지난 22일 제평위의 뉴스서비스 제휴 심사 결과 6곳 이상 지역언론사가 콘텐츠 제휴 진입에 나섰지만 단 한 곳도 그 문턱을 넘어서지 못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지난 25일 네이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뉴스제휴평가위원회에 투명한 심사와 지역의 목소리, 다양한 시선을 가진 매체의 입점을 요구했다. 언론노조 제공

심사 공정성에 대한 말도 많다. 어뷰징 등을 일삼는 경우 해당 언론사를 퇴출시키면 될 일인데 진입부터 언론사를 선별하는 건 과도하다는 얘기다. 김 의장은 "경인일보의 경우 기준에 맞춰 만반의 준비를 했지만 이번 심사에서 떨어졌는데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조차 모른다"며 "밀실에서 일방적으로 하지 말고 심사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사 대상인 언론사 관계자가 제평위 위원으로 구성된 데 대한 '이해충돌' 문제도 꾸준히 나온다.

김 의장은 "제평위는 사실상 포털의 방패막이에 불과하다"며 포털 스스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2018년 네이버가 발족한 기사배열 공론화 포럼에서 지역 저널리즘 약화 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갖고 노력하는 등 9가지 원칙을 세웠다"며 "이후 어떻게 이행하고 있는지 네이버가 답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 생태계를 왜곡하고 있는 포털은 지역언론에 대한 문턱을 낮춰야 합니다. 여성, 장애인, 성소수자, 동물권 등 다양한 시각의 언론 역시 포털에 진입해야 합니다." 언론 그 위의 언론으로 군림하고 있는 포털이 다해야 할 사회적 책무다.

김명래 지역신문노조협의회 의장. 김명래씨 제공

권영은 기자 you@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