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주주의 지수, 세계 23위..북한은 올해도 167위 '꼴찌'

2021. 2. 4. 14: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IU '민주주의 지수 2020'..한국 "완전한 민주국" 5년만 재진입
대만·일본도 최상위권 진입.."글로벌 권력 균형 아시아로 이동"
[123rf]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한국의 민주주의 성숙도가 전 세계 167개국 중 23위를 기록했다. 북한은 올해도 167위를 기록, ‘꼴찌’를 벗어나지 못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부설 경제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2일(현지시간) 발표한 ‘민주주의 지수 2020(Democracy Index 2020)’에서 한국은 10점 만점에 8.01점을 받아 23위에 올랐다.

전년과 순위는 같지만, 점수가 0.01점 올라 5년 만에 ‘결함 있는 민주국가(Flawed democracy)’에서 ‘완전한 민주국가(Full democracy)’ 대열에 합류했다.

EIU는 2006년부터 167개 국가를 대상으로 ▷선거 과정과 다원주의 ▷정부 기능 ▷정치참여 ▷정치문화 ▷국민 자유 등 5개 영역을 평가해 민주주의 발전 수준 점수를 산출해왔다.

이를 토대로 8점이 넘는 국가는 ‘완전한 민주국가’, 6점 초과∼8점 이하는 ‘결함 있는 민주국가’, 4점 초과∼6점 이하는 ‘혼합형 정권’, 4점 미만은 ‘권위주의 체제’ 등 4단계로 구분된다.

4일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선거종합상황실에서 관계자들이 선거 장비를 시연하고 있다. 서울시선관위는 이날 선거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선거관리 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연합]

한국은 항목별로 ▷선거 과정과 다원주의 9.17점 ▷정부 기능 8.21점 ▷정치참여 7.22점 ▷정치문화 7.5점 ▷국민 자유 7.94점을 각각 받았다.

평균 8.01점으로 ‘완전한 민주국가’ 대열에 합류했다. 2008년 이후 줄곧 완전한 민주국가로 평가받던 한국은 2015년 ‘결함 있는 민주국가’로 분류된 후 2019년까지 이 지위를 유지했다.

이번에 5년 만에 최상위권 그룹에 재진입한 것이다.

북한은 전체 평균 1.08점을 받아 전년과 마찬가지로 전체 최하위를 기록했다. 북한은 2006년 이후 단 한 번도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올해 보고서에서 범주별 국가 수는 완전한 민주국가 23개국, 결함 있는 민주국가 52개국, 혼합형 정권 35개국, 권위주의 체제 57개국으로 나타났다.

북한 조선중앙TV가 1일 지난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노고를 소개하는 새해 첫 기록영화 '위민헌신의 2020년'을 공개했다. 영화는 김 위원장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방역사업과 태풍 등 자연재해 복구 작업 등을 자세히 소개했다. [연합]

상위권에는 북유럽 국가들이 포진했다. 노르웨이(9.81점)가 1위를 기록했고 이어 아이슬란드(9.37점), 스웨덴(9.26점), 뉴질랜드(9.25점), 캐나다(9.24점), 핀란드(9.20점), 덴마크(9.15) 순으로 뒤따랐다.

주요 아시아국의 점수는 대만(8.94점·11위), 일본(8.13점·21위), 한국, 말레이시아(7.19점·39위), 인도(6.61점·53위), 필리핀(6.56점·55위)이다.

이중 대만은 전년 순위보다 무려 20계단 올라 조사 대상국 중 가장 큰 진전을 이뤘다.

반면 홍콩은 전년보다 12계단이나 추락한 87위에 올랐다. 동시에 ‘결함 있는 민주국가’에서 ‘혼합형 정권’으로 분류됐다.

EIU는 홍콩 순위 하락에 대해 “반대의견에 대한 당국의 탄압”을 거론했다.

홍콩 프리프레스는 “홍콩의 순위는 싱가포르나 태국보다도 10여 계단 아래”라며 지난해 6월 30일 홍콩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후 반체제 인사들이 잇따라 체포되고, 의회인 입법회에서 야당의 목소리가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7.92점을 받고 전체 25위에 올라 ‘결함 있는 민주국가’로 분류됐다.

미국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완전한 민주국가’ 명단에 있다가 버락 오바마 전 정부 말기인 2016년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4년 임기 내내 ‘결함 있는 민주국가’로 평가돼 왔다.

EIU는 전반적으로 아시아 국가의 민주주의 성숙도가 서방국에 뒤처진다고 평가했다. ‘완전한 민주국가’ 명단에 아시아보다 유럽국이 더 많고, ‘권위주의 체제’ 명단에 아시아 국가가 7개국이나 있는 반면 유럽국은 없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올해 발표에선 일본과 대만이 한국과 함께 ‘완전한 민주국가’ 명단에 새로 진입했고 유럽의 프랑스와 포르투갈이 ‘결함 있는 민주국가’로 떨어졌다.

이를 두고 EIU는 “코로나19 여파로 서방권에서 아시아 쪽으로의 글로벌 권력균형 이동이 빨라졌다”고 진단했다.

greg@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