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800명 희망퇴직..전 은행 2500명 짐쌌다(종합)

김유성 2021. 2. 4. 10: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은행 희망퇴직, 예년보다 많아..전년비 1.7배
다른 은행들까지 합하면 2500명 희망퇴직으로 떠나
영업점보다 앱에 몰리는 금융소비 변화로 구조조정↑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KB국민은행이 희망퇴직 신청을 마지막으로 받으면서 올해 주요 은행들의 명예퇴직 신청도 끝났다.

국민은행에서만 800명이 희밍퇴직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도합 2500여명 정도가 지난 연말과 올해 연초 은행을 떠났다.

국민은행, 예년보다 많은 직원이 떠나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지난 30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해 퇴직한 직원 수가 8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 20일 기준 퇴직 숫자 462명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최근 4년간 가장 많았던 2019년 희망퇴직 613명(2019년 1월 28일 기준)보다 200명이 더 많다.

자료 : 업계
희망퇴직자가 올해 늘어난 것은 기본급의 23~35개월을 지급하는 특별퇴직금 외 재취업지원금 600만원 등이 늘어난 덕분이다.

국민은행 사측은 2020년에는 학자금과 재취업지원금을 합해 최대 2800만원을 지원했지만 올해는 이 규모를 3400만원으로 늘렸다. 지난해 순이익 증가에 따른 희망퇴직자 혜택 상향 조정 요구를 경영진이 받아들인 것이다.

여기에 희망 퇴직 대상자 범위를 늘린 것도 한몫했다. 2020년까지만 해도 임금피크제 대상자(64~67년생)였지만, 올해는 73년생으로까지 대상자 범위를 확대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제2의 인생설계를 희망하는 직원들에게 자율적인 희망퇴직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라면서 “이번 희망퇴직은 지난해보다 대상 인원과 범위가 확대되면서 퇴직 인원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은행권 도합 2500여명 직장 떠나

국민은행 희망퇴직자가 800명 선을 기록하면서 5대 은행 희망퇴직자 수만 2500명을 넘게 됐다. 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은 희망퇴직 조건을 상향 조정하면서 예년보다 많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지난 연말 하나은행은 만 40세 이상이면서 만 15년 이상 근무 경력을 가진 직원들을 대상으로 ‘준정년 특별퇴직’을 받았다. 준정년 특별퇴직은 임금피크제 돌입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희망퇴직으로 평균 36개월치 임금과 자녀 학자금(1인당 최대 2000만원), 의료비, 재취업, 전직 지원금을 지급한다. 지난해까지 기본급의 24~27개월 정도를 희망퇴직금으로 지급했던 것과 비교하면 높아진 조건이다.

이에 일반 직원 285명이 희망퇴직을 신청했다. 전년도 92명 대비 3배 수준이다.

은행 중 희망퇴직 조건이 가장 박한 것으로 평가받았던 농협은행은 다른 시중은행 수준으로 희망퇴직 조건을 상향했다. 기본급 지급 개월 수를 기존 20개월에서 최대 39개월로 늘리고 1인당 최대 2800만원 규모 자녀 학자금과 건강검진권, 재취업 지원금 등을 지급했다. 덕분에 지난해 140명이었던 희망퇴직 신청자 수는 올해 356명으로 늘었다.

우리은행은 만 54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고, 신한은행은 평소와 크게 다르지 않는 조건을 제시했다. 신한은행의 희망퇴직 신청자 수는 올해 220여명으로 지난해 250여명보다 소폭 줄었다.

디지털화, 영업점 축소 가속화

올해는 각 금융지주와 은행 경영진이 디지털화를 화두로 내세웠다. 은행 영업점 이용 빈도가 줄어든 대신 앱을 통해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부쩍 늘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은행 서비스 언택트화는 더 빨라졌다.

이데일리가 지난 1월 모바일 설문조사 업체 오픈서베이에 의뢰해서 금융 소비자들의 은행 서비스 이용방법을 조사해본 결과(전국 2000명 대상, 95% 신뢰 수준에서 ±2.2%) 모바일 앱만 이용했다는 응답자 비율이 42.9%를 기록했다. 지점과 ATM, 모바일 등을 이용했다는 응답은 36.5%였다.

얼마나 지점을 방문했는가에 대한 질문에도 지난 6개월간 1회 이하였다는 대답이 24.4%로 가장 많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초 각 은행장들 마다 디지털을 강조했을 만큼 디지털이 금융의 대세”라면서 “지점 축소 움직임과 인력 구조조정의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김유성 (kys40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