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R&D로 실현해 나간다

2021. 2. 4. 10: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50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R&D로 실현해 나간다
 
- 탄소중립의 관건은 산업·에너지 분야의 ‘한계돌파형 혁신기술’ 개발 -
- 중장기 로드맵 마련을 위한 전략회의 개최 -
 

□ 탄소배출의 가장 큰 부문인 산업과 에너지를 담당하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R&D 전략」을 수립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관계기관 전략회의를 2월 4일 개최함

 
 
< 「탄소중립 R&D전략」 관계기관 회의 개최개요>
 
 
 
ㅇ (주요내용) 산업·에너지 분야 탄소중립 R&D전략 수립계획 발표
및 산학연 관계자 의견 수렴
 
ㅇ (일시/장소) ‘21.2.4(목) 10:00~11:00 / 대한상공회의소
 
ㅇ (참석) (정부) 산업부(차관), (협회) 철강· 석유화학·석유·태양광 협회, 대한상의
(연구기관)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화학연구원협회,
(관계기관) 전략기획단,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에너지기술평가원
 

【필요성】

 

□ 탄소중립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글로벌 질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나, 우리나라는 탄소중심의 에너지 집약적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달성이 쉽지 않은 도전적 목표임

 

* 美 바이든 행정부는 취임 첫 날 파리협약 복귀, EU는 23년 탄소국경세 도입 준비 중

□ 결국 산업·에너지 분야에서 탄소를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한계돌파형 혁신기술” 개발이 탄소중립 달성의 관건임

 

ㅇ 특히 산업분야는 그간 탄소저감을 위한 효율향상 중심의 기술개발에 집중해 왔으나, 이제는 과거와 전혀 다른 근본적인 新공정 개발이 필요함

 

ㅇ 에너지 분야 역시 재생에너지와 수소 중심으로 확고히 전환해 나가기 위해, 태양광 및 풍력발전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수소 전주기 기술개발, 차세대 전력망 기술개발 등이 시급한 상황

 

□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산업부는 탄소저감 기술 개발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하고자, 2050년까지 중장기 R&D로드맵을 수립하고자 함

【R&D전략 수립 의미】

 

① 탄소배출의 가장 큰 부문인 에너지(배출량 37%)와 산업(배출량 36%)을 담당하는 산업부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R&D 계획을 제시

 

② 현재 기술로는 탄소중립이 요원한 바, 탄소중립을 위해 현재의 기술과 산업공정을 뛰어넘는 획기적인 기술전략을 제시한다는 점

 

③ 특히, 탄소중립이 가장 어려운 산업부문은 그동안의 효율향상 전략 차원을 넘어, 탄소중립을 위한 신공정 개발 등 원점(zero-base)에서 보다 근본적인 기술전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번 전략이 가지는 의미가 큼

【기본방향 및 주요내용】

□ 금번 R&D전략 수립의 기본방향은

① (산업계 소통) 실제 기술을 적용할 산업계와의 공감대가 무엇보다 중요한 바, 전략수립 과정에서 산업계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지속 소통

② (종합적 접근) 에너지 공급, 에너지 수요(제조, 수송, 건물 등)를 포괄하여 작업 진행, 분야간 정합성*을 제고하고 가능한 기술을 빠짐없이 점검

 

* (예) 산업분야의 저탄소 신공정 상당수가 전기화/수소화에 관련, 산업에서의 전기 및 수소 활용 확대가 에너지 분야의 기술개발 목표와도 밀접히 연관

 

③ (R&D 시스템 정비) 탄소저감 R&D는 30년 후를 목표로 하며, 성공가능성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과감히 도전해야 하는 특징 보유, 중장기 기술개발 및 민간의 도전적 R&D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까지 고려

 

□ 산업부는 금번 R&D전략 수립을 위해 에너지 공급, 에너지 수요 內 주요 업종별로 16개 작업반을 구성하여,

 
에너지 공급(전환)
(37.0%)
에너지 수요
산업 (36.0%)
수송 (13.5%)
건물 (7.2%)
① 재생에너지
② 그린수소
③ 차세대전력망
④ 전통 에너지원 효율화
⑤ 신에너지원 (핵융합 등)
① 철강
② 석유화학
③ 시멘트
④ 정유
⑤ 반도체·디스플레이
⑥ 산업일반
① 자동차
② 조선
① 냉난방 및
효율향상
(건물관리등)
공통기반
① CCUS, ② 자원순환
 

ㅇ ① 분야별로 탄소배출 현황 및 배출 매커니즘을 분석하고, ② 핵심 감축기술을 도출하여 2050년까지 단계별 기술확보 일정을 제시할 계획

 

ㅇ ③ 기술확보를 위한 정부·민간, 산학연간 역할분담 방안을 제시하고, 필요시 해외기술 도입 등 Global Open Innovation 방안도 검토 예정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