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상 이 작품]어제의 슬픔 뒤로..펜데믹 시대, 희망의 선율

장병호 2021. 2. 4. 0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상에 대한 기대가 사치가 돼버린 요즈음, 서울시립교향악단 공연 '2021 서울시향 성시연의 하이든과 쇼스타코비치'(1월 21·22일 롯데콘서트홀)가 열린다는 소식에 부지런히 공연장으로 향했다.

예상대로 공연장은 한산했으며 중장년 관객이 많아 보였다.

공연장을 떠나면서 사람들은 별로 말이 없었다.

나를 포함한 관객 모두 이제는 과거를 뒤로 하고 희망을 가지길 소망하면서 공연장을 나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심사위원 리뷰
'서울시향 성시연의 하이든과 쇼스타코비치'
거침 없는 지휘로 음악적 감동 증폭
팬데믹 시대, 추모곡으로 위로

[왕치선 음악평론가] 일상에 대한 기대가 사치가 돼버린 요즈음, 서울시립교향악단 공연 ‘2021 서울시향 성시연의 하이든과 쇼스타코비치’(1월 21·22일 롯데콘서트홀)가 열린다는 소식에 부지런히 공연장으로 향했다. 예상대로 공연장은 한산했으며 중장년 관객이 많아 보였다. ‘레퍼토리 영향인가….’ 혼자 반문하며 연주가 시작되길 기다렸다.

지난달 21~22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2021 서울시향 성시연의 하이든과 쇼스타코비치’ 공연의 한 장면(사진=서울시향).
공연 주제는 ‘죽음’이었다. 신년음악회 주제로는 다소 당황스러웠으나 전 세계를 덮친 팬데믹 상황 속에서 “어제까지의 나의 모습과 작별을 고하고 또 다른 길을 떠나고 싶어서…. 절망 속에서 다시 희망을 보고 싶어서”라고 한 지휘자 성시연의 의도가 음악적으로 어떻게 전달될지 궁금했다.

첫 곡인 하이든 교향곡 44번은 ‘슬픔’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다. 작곡가가 자신의 장례식에서 느린 악장인 아다지오를 연주해 달라고 해서 붙은 제목이라고 한다. 씩씩한 걸음으로 들어온 성시연은 하이든의 교향곡 44번의 연주를 지휘봉 없이 손으로 지휘했다. 마치 현재의 난관을 피하지 않고 맨손으로라도 헤쳐나가려는 듯 그녀의 지휘는 거침이 없었지만 동시에 절제돼 있었다. 오케스트라의 악기 간 균형과 조화를 매우 섬세하고 자연스럽게 이끌어냈다.

현악기 소리에 바순에 쳄발로가 더해진 편성은 다양한 음색을 만들면서 작품 전체에 밝은 색채를 지속적으로 더했다. 바이올린 파트끼리 서로 마주보게 한 배치는 풍부한 음향과 섬세한 선율을 전달하는데 효과적이었다.

2부에서는 비교적 생소한 헝가리 작곡가 비톨드 루토스와프스키의 ‘장송 음악’이 연주됐다. 루토스와프스키가 “베토벤의 경지에 오른 유일한 작곡가”라고 칭송했던 벨라 바르톡의 음열작곡기법을 적용하여 작곡한 작품이다. 독일 히틀러 시대의 사상적, 음악적 검열이 심했던 시기를 지나 바르톡 사후 10여 년 뒤에야 완성돼 헌정됐다.

연주는 첼로를 필두로 다른 현악기들이 가세하면서 다양한 두께를 가진 소리 층의 가감을 통해 음량과 음색의 변화가 유연하게 이뤄졌다. 지휘자는 음악적 긴장의 구축과 이완과 함께 작품의 대위법적인 구조를 명확하게 구현해 냄으로써 음악적 감동을 증폭시켰다.

마지막 곡으로 쇼스타코비치의 실내 교향곡이 연주됐다. 쇼스타코비치는 구 소련 스탈린 정권 하에서 끊임없이 핍박 받았다. 이 곡은 쇼스타코비치 자신이 사후에 추모곡으로 쓰고자 작곡했고 자신에게 헌정했다.

명징한 현악기의 음향에서 오케스트라 단원 전체의 유기적 연결과 조직력이 돋보였다. 바이올린 솔로의 처연함과 첼로 솔로의 깊은 울림도 인상 깊었다. 5개 악장이 휴식 없이 연주되는 동안 공연장에 가득한 긴장감과 비장함에 연주가 끝나고 나서도 한참동안 누구도 박수를 칠 수가 없었다.

공연장을 떠나면서 사람들은 별로 말이 없었다. 공연의 주제를 들고 자신들의 상처와 고통을 마주하고 성찰한 연유이리라. 나를 포함한 관객 모두 이제는 과거를 뒤로 하고 희망을 가지길 소망하면서 공연장을 나섰다.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