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가른 희비..IT공룡 '역대급 어닝' 석유공룡 '잔혹한 1년'

이준기 2021. 2. 3. 1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IT 공룡(빅테크)들이 지난해 4분기 잇달아 어닝 서프라이즈를 이끌어내며 활짝 웃었다.

반면 석유공룡들은 역대급 최악 실적으로 울상을 지었다.

앞서 애플·페이스북·테슬라도 지난달 27일 예상을 뛰어넘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내놓은 바 있다.

IT공룡들의 거침 없는 질주는 올해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글 작년 매출 23% 급등..아마존, 첫 분기기준 '1000억弗 고지'
애플·페이스북도 방긋..월가 "규제 우려에도, 올해 질주 지속"
엑슨모빌 4분기 연속 순손실 행진..BP, 10년 만에 첫 연간 적자
유가 상승 흐름에도.."코로나·감산 합의 등으로 변동성 지속"
(사진=AFP)
[이데일리 이준기 방성훈 기자] 미국 IT 공룡(빅테크)들이 지난해 4분기 잇달아 어닝 서프라이즈를 이끌어내며 활짝 웃었다. 반면 석유공룡들은 역대급 최악 실적으로 울상을 지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두 업계의 희비가 교차했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블룸버그통신·CNBC방송 등 미 언론에 따르면 이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알파벳은 전년 동기 대비 23% 급등한 569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어닝 서프라이즈의 배경에는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한 광고가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유튜브 광고 수익이 68억9000만달러로 월가(街) 전망치(61억1000만달러)를 넘어선 게 눈에 띄었다.

루스 포랫 구글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검색 및 유튜브 사업이 4분기 실적을 견인했다”고 했다. 같은 날 4분기 실적을 내놓은 아마존은 사상 처음으로 1255억6000만달러를 기록, 분기 기준 처음으로 1000억달러 매출 고지를 밟았다. 팬데믹으로 온라인 쇼핑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덕분으로 풀이됐다.

알파벳·아마존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외거래에서 각각 약 9%와 1.6% 상승했다.

앞서 애플·페이스북·테슬라도 지난달 27일 예상을 뛰어넘은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내놓은 바 있다. 애플은 사상 최초로 분기 매출 1000억 달러를 넘어섰고 페이스북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1% 급증했다고 전했다. 테슬라도 창사 이래 처음으로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이들 역시 지난해 코로나 위기의 반사이익을 톡톡히 받은 셈이다.

IT공룡들의 거침 없는 질주는 올해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최근 씨티그룹은 빅테크에 대한 독점 규제 강화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높아진 전자상거래 비중 등을 이유로 이들 기업의 주식 전망을 낙관적으로 봤다.

반면 엑슨모빌과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 등 글로벌 석유업체들은 말 그대로 죽을 맛이다.

이날 미 정유업체 엑손모빌은 지난해 220억달러의 순손실을 봤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4분기에만 200억달러 순손실을 내며 4분기 연속 적자 행진이다. WSJ은 “엑슨모빌의 연간 적자는 40년 만에 처음”이라며 “4분기 연속 적자 역시 1999년 엑슨과 모빌이 합병한 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했다. 영국 정유업체 BP도 지난해 57억달러 적자를 봤다. 시장 예상치(48억달러 순손실)보다 손실 폭이 컸다. CNBC방송은 “BP의 적자는 49억달러의 순손실을 낸 2010년 이후 처음”이라며 “손실 폭도 10년 전보다 크다”고 했다. 엑슨모빌과 함께 미 양대 석유업체로 꼽히는 쉐브론 역시 지난달 29일 55억달러의 연간 적자라는 초래한 성적표를 내놓았었다.

팬데믹으로 인한 수요 급감으로 국제유가가 폭락한 영향이 컸다. 유가는 지난해 한때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다. WSJ이 “글로벌 석유업체들이 잔혹한 2020년을 보냈다”고 표현할 정도다.

최근 유가가 상승 흐름을 보이자 올 하반기 안정화 전망도 나오긴 하나 경영 정상화까진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많다. 최근의 유가 상승세는 주요 산유국의 감산 약속 등에 따른 것인데, 이는 향후 합의가 틀어질 경우 하락 반전 가능성 역시 여전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코로나 극복 속도에 따라 유가 변동성은 지속할 수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버나드 루니 BP 최고경영자(CEO)는 “백신 출시와 석유수출국기구(OPEC) 감산 전략 등이 (업계) 회복 속도의 향배를 가를 것”이라고 했다.
(사진=AFP)

이준기 (jek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