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국 같다" 비판에도..1명 확진에 200만 발묶은 나라

한지연 기자 2021. 2. 3. 04: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역 모범국 된 호주 "지금 봉쇄하지 않으면 나중에 더 길게 봉쇄"
지난해 8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락다운(봉쇄) 조치로 호주 빅토리아주 멜버른의 카페와 서점이 문을 닫은 모습. /AP=뉴시스

호주의 강력한 봉쇄 정책이 재평가받고 있다. 호주는 지난해 코로나19(COVID-19) 사태 초기 확진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자 3월부터 국경을 봉쇄하고 주 별 봉쇄를 반복적으로 시행했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 봉쇄에 반발하는 국민들에 못이겨 조치를 완화한 것과는 상반된다.

뉴욕타임스(NYT)는 1일(현지시간) "최근 호주가 코로나 이전으로 거의 돌아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강력한 봉쇄정책이 팬데믹(대유행)으로 시름하는 전세계에 교훈을 준다"고 보도했다.

단 1건의 확진, 200만 도시 멈췄다
호주 서부 퍼스시 당국은 지난달 31일 격리시설로 사용되는 한 호텔의 경비원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자 즉각 도시 전체를 5일간 봉쇄했다. 퍼스에서 신규 확진자가 나온 것은 10개월 만인데, 단 1건의 확진사례가 발생하자마자 봉쇄령을 내린 것이다. 퍼스는 호주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다.

당장 그날부터 시민 200만명이 출퇴근과 운동, 병원 방문, 식품 구입 등 필수적인 활동을 제외하고는 외출이 금지됐다. 식당과 카페, 영화관 등도 영업을 멈추고 학교도 문을 닫았다.

마크 맥고완 서호주 주총리는 "우리 모두가 이웃과 국가의 안전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며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멜버른에서 벌어진 봉쇄 반대 시위/사진=AFP
반발에도 아랑곳않고 봉쇄, 또 봉쇄
호주의 '지독한' 봉쇄 정책은 코로나 유행 내내 계속돼왔다. 지난해 3월부터 해외 입국자를 엄격히 제한하면서 국제선 입국자에 대해선 격리와 진단검사를 의무화했다.

100년 만에 빅토리아주와 뉴사우스웨일주를 오가는 통로도 막았다. 다른 서방 국가들이 개인정보 보호 등을 이유로 포기한 밀접접촉자에 대한 추적시스템 역시 계속해서 유지했다.

호주의 봉쇄 조치가 처음부터 완벽했던 것은 아니다.

호주 내 코로나 핫스팟이었던 빅토리아주는 지난해 3월말에서 5월말까지 봉쇄를 시행했다. 조치를 완화한 뒤 다시 확진자 수가 증가할 기미를 보이자 곧장 7월부터 10월까지 111일 동안 다시 폐쇄 조치를 내렸다.

도시 전체를 거의 반년 동안 봉쇄하면서 시민들이 항의 시위에 나서기도 했다. 멜버른 소재 스윈번 공대 로스쿨의 미르코 바가릭 교수는 "대니엘 앤드루스 빅토리아주 총리가 중국과 북한의 공산정권보다 더 혹독하게 주민들을 다루고 있다"고 봉쇄를 비판했다.

그러나 빅토리아주는 시민들의 반발에도 아랑곳 않고 일일 신규확진자가 0명을 기록하고서야 봉쇄 조치를 해제했다. 그 결과 지난 11월 한달 내내 단 한명의 확진자도 나오지 않았다.

"시간 지날수록 봉쇄가 답이었다는 것 분명해져"
브리즈번 경찰이 마스크 착용을 거부한 남성을 체포하는 모습/사진=AFP
빅토리아주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작은 감염 이후 즉각적인 봉쇄가 시행됐고, 결국 이는 빠른 정상생활 복귀로 이어졌다.

퀸즐랜드주의 브리즈번은 지난달 초 미화원 한 명의 영국발 변이바이러스 감염 소식이 보고된 후 16시간 만에 도시 전체를 3일간 봉쇄했다. 아나스타샤 펄래스척 퀸즐랜드 주지사는 "지금 3일 봉쇄하지 않으면 나중에 30일 봉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초반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봉쇄를 유지한 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효과를 발휘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500만명에 달하는 멜버른 시민들은 지난해 거의 집에 갇혀있었다"고 보도했다.

NYT는 "호주인들은 외로움과 슬픔, 자유 침해에 대한 주장보다 집단 이익을 위해 단기적인 고통을 감내하는 일상에 익숙해졌다"며 "대유행의 시작과 비교했을 때 미국·유럽과의 대조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미국과 유럽이 섣부르게 봉쇄를 완화하면서 지난 연말부터 더 극심한 재유행을 맞닥뜨렸지만, 강력한 봉쇄 조치를 꾸준히 시행한 호주는 달랐다는 것이다. 이날 기준 호주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는 총 909명으로 영국과 미국의 일일 사망자수보다 적다.

이안 멕케이 퀸즐랜드대 바이러스학 박사는 "유럽과 미국은 반쪽짜리 봉쇄를 선호하는 것 같다"며 "백신이 전염에 미치는 영향이 즉각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완벽한 봉쇄만이 바이러스 전염을 멈추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1월 코로나19 회복력 순위'에 따르면 호주는 평가대상 53개국 중 3위를 차지했지만 미국은 35위에 그쳤다.

[관련기사]☞ 모텔간 고교생·교사…서로 "당했다"'故박지선' 비하 BJ철구 복귀…"돈 떨어져서 왔다"김동성 양육비 언급에 전 부인 "거짓말…2개 조건 제시해"보름달 보려다…트랜스젠더 가수 소피, 발 헛디뎌 비극강남서 20대 여성 사망…현장엔 '필로폰·주사기'
한지연 기자 vividha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