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줄이 폐점' 유니클로..뚜껑 열어보니 흑자 전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유니클로가 국내 오프라인 매장 철수에 속도를 내고 있다.
1년 6개월 만에 35개 매장의 문을 닫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불매운동 1년 만에 한국 유니클로의 실적도 소폭 흑자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니클로는 지난 2019년 9월 기준 188개의 매장이 있었지만, 1년 6개월 만에 35여 개 매장을 폐점해 현재 153개 매장만 운영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년 6개월간 35개 매장 폐점…업계 "당분간 폐점 계속될 듯"
[더팩트|한예주 기자]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유니클로가 국내 오프라인 매장 철수에 속도를 내고 있다.
1년 6개월 만에 35개 매장의 문을 닫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불매운동 1년 만에 한국 유니클로의 실적도 소폭 흑자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유니클로가 수익성 강화를 위해 이 같은 폐점전략을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도 추가 대책 없이는 실적 반등이 어려울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유니클로는 이달 말까지 10개 매장을 폐점할 예정이다. 서울과 수도권에선 홈플러스 방학점과 목동점, 강서점이 폐점하고 영남지역에선 홈플서스 성서점과 아시아드점, 칠곡점, 해운대점이, 롯데백화점 상인점이 19일까지 차례로 문을 닫는다. 호남에서도 홈플러스 광주점이 18일까지, 롯데백화점 광주점이 25일까지만 영업한다.
지난달 유니클로는 국내 최대 매장인 유니클로 명동중앙점과 수원역 내 유니클로 AK수원점, 대전 홈플러스유성점이 폐점한 바 있다.
특히, 유니클로가 지역 거점 매장이던 강남점과 명동중앙점을 폐점한 것은 국내 패션업계는 물론 일본 현지에서까지 화제가 됐다.
2011년 문을 연 명동중앙점은 오픈 첫날 일매출 20억 원을 기록해 일본 본사에서도 깜짝 놀랄 만한 성과를 올렸던 아시아 대표 매장이었다. 질 샌더 디자이너 협업 컬렉션 등이 출시될 때마다 수백 명이 줄섰던 매장이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명동 상권의 붕괴를 이겨내지 못했다.
결국 유니클로는 지난 2019년 9월 기준 188개의 매장이 있었지만, 1년 6개월 만에 35여 개 매장을 폐점해 현재 153개 매장만 운영하고 있다. 이달 10개 매장이 추가로 문을 닫으면 143개 매장만 남게 된다.
앞서 국내에서 유니클로를 전개하는 에프알엘코리아는 지난해(2019년 9월~2020년 8월, 8월 결산법인) 994억 원의 대규모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영업손실로 884억 원을 기록했는데, 직전 회계연도인 2018년 9월~2019년 8월(15기) 영업이익이 1994억 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2800억 원 넘는 영업익 하락이 발생한 셈이다. 직전연도에 1210억 원이나 지급했던 주주 배당금은 0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대규모 적자를 딛고 지난달 14일 유니클로의 모기업 일본 패스트리테일링은 1분기(2020년 9월~2020년 11월)에 한국 유니클로가 흑자 전환했다고 밝혔다.
한국을 포함한 유니클로 해외사업부는 지난해 9~11월 매출액이 2606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414억 엔으로 9.5%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30여 개 매장의 폐점으로 임대료 비용을 큰 폭으로 줄인 것이 주효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업계 안팎의 분석이다. 실제로 일본 불매 이전인 2018년 9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에프알엘코리아의 임대료 비용은 1753억 원을 기록했으나 지난해(2019년 9월 1일~2020년 8월 31일) 임대료 비용은 513억 원에 그쳤다.
다만, 업계에서는 다소 회의적인 반응이다. 단순히 매장 폐점으로는 수익성을 강화하기 힘들다는 견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매장 폐점으로 인한 영업익 증가는 사실 단기 이슈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그간 특정 디자이너와의 콜라보 기간 등을 제외하면 유니클로는 오프라인 점포의 매출 비중이 셌다. 온라인 판매 비중을 늘리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 최근 불매운동 여파가 다소 사그라져 온라인을 통한 주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국 소비자들의 인식 전환과 유니클로의 온라인 전략이 유니클로에겐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hyj@tf.co.kr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나경원 불기소결정서 보니…"딸 성적 대폭 정정은 강사 재량"
- [단독] 나경원 아들, '특전사' 차출…"대견하면서도 걱정"
- "유포자 영혼 털겠다"던 진달래, 난장판 된 '학폭' 논란
- 판사 탄핵 '강행' 민주당의 희망과 우려
- 국민의힘, '北 원전' 총공세…민주당 "망국적 색깔정치"
- 배당 축소 권고에…당국·주주 사이서 눈치 보는 금융권
- D램 덜고 낸드 늘린다…'투톱 체제' SK하이닉스, 체질개선 가속도
- 최태원 "SK하이닉스 연봉 반납"…성과급 불만에 '깜짝 발언'
- [단독] '측근 부정채용' 은수미 자택·휴대전화 압수수색영장 기각
- [단독] 엄용수 '세 번째 결혼', 2월 6일 LA '야외 스몰 웨딩'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