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간다]진료실 앞 피살 2년..20%는 '무방비'

2021. 2. 2. 19:57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8년 조현병 환자가 휘두른 흉기에 목숨을 잃은 강북삼성병원 임세원 교수 사건 기억하십니까?

의료진을 보호하기 위해 이른바 '임세원법'이 만들어졌죠.

코로나 때문에 밤낮없이 일하는 의료진들이 전보다 더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지, 우현기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

[리포트]
임세원 교수가 진료실에서 다급히 뛰쳐 나오고, 흉기를 든 남성이 뒤쫓아 나옵니다.

자리를 피하던 임 교수는 멈춰서 뒤를 돌아보며 직원들에게 대피하라고 손짓했는데,

결국 뒤쫒아온 남성이 휘두른 흉기에 변을 당했습니다.

남성은 '뇌속에 폭탄이 심겨졌다'는 망상에 사로잡힌 조현병 환자였습니다.

[우현기 기자]
"사건이 발생했던 강북삼성병원입니다.

지금은 3층에 있던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이 5층에 새로 자리잡았는데요.

의료진 안전을 위해 어뗜 조치들이 이뤄졌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보안 인력이 배치됐고, 비상벨이 설치됐습니다.

비상벨은 무음인데, 의사가 환자 모르게 누르면, 보안실에서만 큰 벨소리가 울리게 됩니다.

[전상원 / 강북삼성병원 정신의학과]
"무음으로 해야지 여기저기 울리게 되고 하면 다 당황스럽거나 해서 침착한 대응이 안됩니다."

책상엔 액자형 방패를 설치했고,

진료실 뒷편엔 대피 복도를 새로 만들어, 의사가 비상 상황시 탈출할 수 있게 했습니다.

또 복도 양쪽에 자리잡았던 진료실들을, 한 쪽으로만 배치해, 보안요원이 위험 상황을 한눈에 알아차릴 수 있게 했습니다.

[전상원 / 강북삼성병원 정신의학과]
"보안요원하고 간호사실에서는 항상 모든 진료실을 앞으로만 바라보게 (바꿨습니다.)"

이런 비상벨과 보안 인력은 지난해 10월부터, 전국 100병상 이상 모든 병원에 의무화됐습니다.

하지만 대상 병원 중 20% 정도는 비상벨과 보안인력을 모두 갖췄다는 신고를 안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5곳중 1곳은 미비된 것으로 추산됩니다.

법 적용을 받지 않는 100 병상 미만 병원에선 사각지대가 여전합니다.

지난해 8월 부산에선 비상벨과 경호인력이 없던 50병상 미만 정신과 병원에서, 의사가 조울증 환자에
살해됐습니다.

[피해 의사 여동생]
"(보안 요원 갖출) 여력이 없었죠. 경제적인 여력이. 밤에 간호사들 혼자 두기가 좀 그렇잖아요. 그래서
오빠가 밤에 당직도 많이 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소규모 정신의료기관에도 안전 기준을 적용해 나가겠다는 입장이지만, 현재 '코로나19' 때문에 점검은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강기윤 / '국민의힘' 의원]
"점검하지 않고 (안전 장치가) 준비되지 않은 병원이 22% 정도 된다는 건 돌이켜 볼 문제가 있습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측은, 사회적 편견 때문에 환자가 치료 시기를 놓치는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합니다.

[최준호 / 한양대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편견은 정신과 환자를 감추고 숨긴다고 해서 될 게 아닙니다. 잘 치료되면 인권을 신장시키는 겁니다."

임세원 교수 사건의 환자도, 입원했다 퇴원한 뒤, 수 년간 방치되면서 망상증상이 심해졌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백종우 /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방치된 (환자) 분들이 점점 늘어나니까… 입퇴원 과정에 사회적 판단이 있어야 이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다시간다' 우현기입니다.

whk@donga.com
PD 윤순용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