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USB 미국에도 줬다..북한과 원전 전혀 거론 안 해"

김유진 기자 2021. 2. 2. 18: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정의용 외교부장관 후보자는 2일 “북한과 대화 과정에서 원전 문제를 전혀 거론하지 않았다”면서 정부가 북한 원전 건설을 추진했다는 논란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정 후보자는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건넨 USB을 미국 측에도 전달했다고 밝혔다.

2018년 4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지낸 정 후보자는 이날 회견을 자청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의 ‘북한 원전 건설 추진’ 관련 문건 작성·삭제로 불거진 의혹에 관한 입장을 밝혔다.

정 후보자는 “(판문점 정상회담) 직후 워싱턴을 방문해 미국(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북한에 제공한 동일한 내용의 USB를 제공하고, 한반도신경제구상의 취지에 대해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충분히 수긍했고, 사실 미국이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북한에 전달한 것과 같은 USB를 미국에 제공했기 때문에 ‘극비리 원전 추진’과 같은 내용은 담기기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USB에 대북 원전 추진 계획이 포함됐으리라는 야당의 의혹 제기를 일축한 것이다.

정 후보자는 당시 남북정상회담에 관여했던 여권 인사들과 마찬가지로 정부 차원에서 북한 원전 건설을 전혀 검토한 적이 없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한 마디로 말씀드리면 정부가 북한에 대해 원전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매우 비상식적인 논리의 비약이다”고 밝혔다. 이어 “현 상황에서는 어떤 나라도 원전을 (북한에) 제공할 수 없다”면서 “따라서 우리나라도 북에 대한 원전 제공을 내부적으로 검토도 하지 않았고, 특히 청와대나 NSC 차원에서 검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 원전을 제공하려면 5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면서 △비핵화 협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 것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전부 해제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세이프가드 협정 체결 △북에 원전을 제공하는 미국 등과의 별도 원자력협정 체결 을 예로 들었다. 그러면서 “전혀 불가능한 상황인데 검토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인근 사무실 로비에서 ‘북한 원전 추진 의혹’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김유진 기자 yj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