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감시·정밀여과 장치 설치 '스마트 상수도관'.. '수돗물 불신' 거른다
수자원公, 국가 상수도망 첨단관리 박차
광역·지방 161개 사업에
최첨단 ICT 접목 물 관리
내년부터 노후관 정비사업
4대강 위기대응센터 설립
녹색 일자리 9400개 창출
생산유발효과 3조6000억
2021년 현재 ‘수돗물’ 사용은 우리에게 너무나 당연한 일상 중 하나다. 지난 2019년 한 해 국민 한 명이 하루 동안 사용한 수돗물 평균 사용량은 295ℓ(가정용수 189ℓ)에 달했다. 총 용량으로 보면 가정에서만 한 해 35억6371만t에 달하는 용수를 썼다. 여기에 영업용(식당, 사무실 등) 용수 사용량까지 합치면 21억1907만t이 늘어난다.
이처럼 많은 물을 ‘물 쓰듯’ 쓸 수 있던 데에는 완비된 인프라 덕이 컸다.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상수도 보급률은 99.3%, 수돗물을 제공받는 인구는 5274만7000명에 달한다. 보급률이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농어촌 지역에서도 보급률이 95.4%(전년 대비 0.6%포인트 증가)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소규모 수도시설은 1만4374곳으로 전년 대비 3.7%포인트 감소하는 추세다. 수돗물 공급시설인 상수도관은 약 22만㎞로, 지구 둘레(약 4만㎞)의 약 5.5배에 달한다.
이처럼 일상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수돗물. 그런데 지난해 국민에게 결정적으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을 안겨준 사건이 터졌다. 이른바 ‘수돗물 유충’ 사태다. 2019년 인천광역시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에 이어 2020년 7월 전국적으로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는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국민적 불신이 높아졌다. 이 사태로 환경당국에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환경부는 유충 사태 이후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그중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맡은 곳이 한국수자원공사다. 국가 전체 수도공급의 48%를 담당하고 있는 수자원공사는 그간 축적된 물관리 노하우와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국가 상수도(지방·광역) 전 과정의 스마트화에 나섰다. 수자원공사는 이달까지 전국 161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방상수도 스마트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2년까지 특별·광역시 등 44개 지자체 선도사업 및 잔여 지자체 117개 후속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만 1조3600억 원에 달하는 대형 사업이다. 참고로 스마트 상수도 관리란, 수질·수량·수압 모니터링 장치, 자동배수설비, 정밀여과장치 등을 상수도관망에 설치해 실시간 수량·수질 감시 대응 및 자동 관리를 가능케 한다는 개념이다.
여기에 지난해 7월 한국판 뉴딜 정책에 물 분야 그린뉴딜 사업으로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구축’ 사업이 반영됨에 따라 전국 48개 광역상수도 시설에 스마트 광역상수도를 구축하는 사업(총사업비 2356억 원) 역시 2023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이로써 지방상수도와 광역상수도까지 스마트관리체계 구축으로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대한 선진화 및 안전성이 확보됐다”고 평가했다.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스마트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 관리하는 데만 9400명의 관련 녹색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고, 스마트 센서 시장 확대를 통한 생산 유발 효과도 3조60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수자원공사는 또 지자체와 위기대응 기조를 함께하기로 했다. 특히 한강, 금강, 영섬강(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등 4개소 수돗물 사고대응 전문기관인 ‘유역수도지원센터’를 설립해 상수도 전문기술 지원·이전을 실시하기로 했다. 센터의 주요 업무로는 시설진단 지원, 유수율 제고, 수질관리 지원, 물 복지서비스 등 사고 발생 시 대응 및 상수도 전반에 걸친 기술 지원이다.
수자원공사는 노후관 개량에도 나서고 있다. ‘2017년 먹는 물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제 수돗물을 마시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노후 시설에 대한 우려(41.7%)가 가장 컸기 때문이다. 이에 수자원공사는 2017년부터 재정이 부족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노후 상수도시설 개량을 위한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을 추진 중이다. 2019년 8월 전국 상수관로 정밀조사를 통해 관로의 노후도를 정확히 판정, 전국 노후 수도관이 정비될 수 있도록 개선 계획을 마련하고 2022년부터 노후관로 정비사업을 확대 실시할 예정이다.
송유근 기자 6silver2@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돗물 유충’사태는… 오염물 거르는 활성탄지서 발생
- 40代 BJ, 노출 인터넷방송 거부한 여직원 돈 뺏고 살해
- ‘北원전’ 건설 전문가 명단까지 작성
- 폭설의 비극…40대, 제설 다툼 이웃부부 살해후 목숨 끊어
- ‘와르르 쿵’…여자 탈의실 천장에서 훔쳐보던 남성의 최후
- 가수 진달래, 학교폭력 논란에 ‘미스트롯2’ 하차
- 현직검사들 “3년 임기 공수처 누가 가겠나”
- ‘아빠의 탈을 쓴 악마’…2년간 딸에게 86차례 몹쓸짓
- “할머니가 무슨…” 피해에 한번, 편견에 두번 우는 노인들
- ‘제주 카지노 사건 한 달’…경찰 발견한 130억원 누가 가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