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쇼크에 매출 급락..불 꺼지는 K면세점
'큰 손' 中 보따리상도 발길 뜸해
年 매출 1년만에 24조→15조로
인천공항선 초유 유찰사태 반복
면세구역 30% 공실 대란 현실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지난해 국내 면세점 매출이 40% 가까이 급락했다. 지난 2019년 연 매출 24조원을 기록하며 글로벌 1위 면세 시장으로 올라섰지만, 코로나19를 겪으면서 1년 만에 3년 전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하늘 길이 막히면서 내국인 출국이 급감한 데다, 국내 면세 업계의 큰 손인 중국 보따리상(다이궁)마저 중국 정부의 규제 완화로 자국 면세점으로 이동하면서 글로벌 선두 자리도 내줬다. 여기에 세계 1위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의 제1터미널 면세점은 코로나19로 초유의 유찰 사태를 반복한 결과 내달 면세 구역의 30%가 불이 꺼지는 공실 대란이 현실화 되고 있다.
1일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면세점 매출은 15조 5,051억 원으로 전년 대비 37.7% 감소했다. 방문객도 급감했다. 지난해 면세점 방문객은 1,066만 9,000여 명으로 2019년 4,844만 3,000여 명의 22%에 그쳤다. 특히 내국인 출국이 어려워지면서 외국인 매출 비중이 94%까지 올라갔다. 2019년 외국인 매출 비중은 83%였다.
국내 면세점 매출은 2009년 3조 8,522억 원에서 계속 증가해 2016년 10조 원을, 2019년 20조 원을 넘겼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적으로 항공편 여행이 중단되면서 매출이 급감했다. 이에 호텔신라(008770)는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연간 손실을 내는 등 업계도 큰 타격을 입었다.
성장세가 꺾이면서 코 앞에 뒀던 세계 1위 타이틀도 멀어지게 됐다. 영국의 면세 전문지 무디 데이빗 리포트에 따르면 2019년 세계 면세점 시장에서 매출 기준으로 스위스 듀프리에 이어 롯데와 신라면세점은 각각 2, 3위를 차지한 바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는 롯데가 스위스 듀프리를 꺾고 1위에 올라설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상황은 반전 했다. 특히 중국이 하이난 지역의 내국인 면세 쇼핑의 한도를 크게 늘리면서 2019년 5위였던 중국 국영면세품그룹(CDFG)이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전 세계 1위로 올라섰다. 듀프리는 2위로 밀려났고 롯데와 신라는 각각 3, 5위를 차지했다.
중국 정부는 자국민이 하이난을 다녀온 뒤 6개월 간 온라인 면세점을 통해 면세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연간 면세 한도도 3만 위안에서 10만 위안으로 3배 넘게 올렸다. 단일 품목 가격 제한 규제는 아예 없앴다. 그 결과 억눌린 소비 심리가 하이난에서 폭발하면서 하이난 면세점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34.3%나 늘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리 정부도 면세 업계의 절박한 현실을 반영해 특허 수수료 감면이나 자국민 면세 한도 확대 등의 추가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는 세계 1위 공항인 인천공항 면세점마저 불을 꺼지게 만들었다. 인천공항 1터미널 출국장 면세점에서 롯데와 신라가 운영 중인 구역의 계약은 오는 2월 28일 만료된다. 매장 수는 24개, 규모는 4,263㎡으로 전체의 30%에 달한다. 앞서 이 구역은 지난해 8월 계약 기간이 만료됐으나 아직 신규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해 연장 영업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관세법상 최대 6개월까지만 연장 가능해 이달 말에는 결국 공실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에 인천공항은 임시 방편으로 일단 1터미널 운영 사업자인 신세계(004170)와 현대백화점(069960) 면세점에 영업면적을 5% 넓혀 운영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인천공항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과 협의하고 있다"며 "공항 이용객이 하루 20만 명에서 6,000명 수준으로 급감해 이용객의 큰 불편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세계와 현대백화점 면세점의 영업 면적 확장 만으로는 롯데와 신라 구역을 감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재입찰을 서둘러 진행한다 하더라도 파격적인 임대료 인하 없이는 후속 사업자 선정이 또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신규 사업자 입찰 흥행 여부는 결국 임대료에 달려있다"며 "업계가 수용할 만한 임대료를 제시하지 못하면 작년처럼 유찰을 반복하면서 공실 사태가 장기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민주 기자 parkmj@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최고매출 천억' 기획부동산 553개 색출…국토부 '매매업 등록제' 추진
- 文대통령, 野의 北 원전 의혹에 '구시대 유물 정치'
- 확진자 접촉 후 발열·기침하는 개, 코로나 검사 받으세요
- “누구나 금손 되는 갤럭시S21 카메라, 개발자들 발품으로 만들었죠”
- 미성년 의붓딸 86차례 성폭행하고 '딸이 동의했다'…30대 징역 10년
- 정용진 야구단 이름 '일렉트로스'되나…상표권 출원
- 김종인 “가덕도 신공항 지지…한일 해저터널도 연결하자”
- 황정음, 파경 소식 5개월만 근황 공개…국내외 팬들 환영
- 한국경제 자화자찬 할때 아니다…'양극화·고용부진 해결 시급'
- 공공재건축·개발 효과… 빌라경매 때아닌 호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