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겪으니 당신의 빈자리가 더 큽니다

광주=박성민 기자 2021. 2. 2.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원(轉院) 조정 방안→사례조사위원회' 'NEMC(중앙응급의료센터)→조직의 한계' '감염위원회'.

2019년 2월 4일 설 연휴에 병원을 지키다가 과로로 숨진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당시 51세·사진)이 사무실 화이트보드에 남긴 메모의 일부다.

윤순영 전 중앙응급의료센터 재난응급의료상황실장은 "응급실 이송 전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부터 전원과 협진 활성화까지 사례 조사를 통해 개선책을 찾으려고 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故윤한덕 센터장 2주기 맞아 집무실 유품 20여점 추모위서 공개
쪽잠 자던 간이침대-낡은 휴대전화.. 응급의료체계 개선 고민 흔적 담겨
'윤한덕상' 첫 수상자는 정은경 청장
지난달 28일 광주 전남대 의대 박물관에서 허탁 응급의학과 교수가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의 유품을 소개하고 있다. 광주=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전원(轉院) 조정 방안→사례조사위원회’ ‘NEMC(중앙응급의료센터)→조직의 한계’ ‘감염위원회’.

2019년 2월 4일 설 연휴에 병원을 지키다가 과로로 숨진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당시 51세·사진)이 사무실 화이트보드에 남긴 메모의 일부다. 여러 회의 내용이 뒤섞이고 일부는 지워져 알아보기 어려웠지만 윤 센터장의 고민은 하나로 모아졌다. 응급의료 체계를 개선해 피할 수 있는 죽음, 억울한 죽음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가 마지막으로 남긴 이 기록은 광주 전남대 의대 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집무실에 있던 유품 20여 점을 윤 센터장의 친구인 전남대 의대 응급의학과 허탁 교수(58)가 가져왔다. 지난해 1주기에 맞춰 추모 행사를 열고 유품도 전시할 예정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연기됐다. 윤 센터장 추모실무위원회는 지난달 28일 유품을 본보에 처음 공개했다.

사례조사위원회는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였다. 당시 외상센터 부실 논란으로 윤 센터장은 휴가도 취소한 채 대책 마련에 몰두하고 있었다. 윤순영 전 중앙응급의료센터 재난응급의료상황실장은 “응급실 이송 전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부터 전원과 협진 활성화까지 사례 조사를 통해 개선책을 찾으려고 했다”고 말했다.

윤 센터장은 감염병이 확산됐을 때 응급의료 체계를 보호하는 방법에도 관심이 많았다. 그는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 때 국립중앙의료원 메르스대책반장을 맡아 이틀 만에 음압병실을 만들기도 했다.

붉은 매직으로 쓴 ‘감염위원회’는 그때부터 이어진 고민의 흔적이다. 응급실에 음압 격리실을 만들고, 병상 사이 간격을 넓혀 이를 응급의료기관 평가에 반영한 것도 윤 센터장이었다. 장한석 서울응급의료지원센터 선임연구원은 “당시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응급실 환자를 통해 감염병 감시 체계를 만들자는 아이디어를 논의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를 겪으며 동료들은 윤 센터장의 빈자리를 더욱 크게 느낀다. 의료기관 이용 제약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숨지는 이른바 ‘초과 사망’ 때문이다. 허탁 교수는 “한덕이가 있었다면 비(非)코로나 응급환자의 이송 체계, 지정병원 운영을 더 적극적으로 논의했을 것”이라며 아쉬워했다.

유품엔 윤 센터장의 고된 하루와 오랜 꿈이 담겨 있었다. 집에도 가지 않고 쪽잠을 자던 간이침대는 윤 센터장을 기억하는 상징이 됐다. 딱딱한 마사지 침대에 윤 센터장의 부인이 라텍스를 덧대 만든 것이다. 닥터헬기 도입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윤 센터장의 유일한 취미는 모형비행기 조립이었다. 동력 비행기를 만들기 위해 분해한 낡은 휴대전화도 유품 목록에 포함돼 있다.

동료들은 평생을 응급의료에 바친 윤 센터장의 헌신이 잠깐의 관심으로 그치지 않기를 바란다. 윤 전 실장은 “코로나19 영향도 있지만 응급의료 체계 개편 논의에 큰 진전이 없는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대 의대 동문회는 공공의료 발전에 기여한 이에게 수여하는 ‘윤한덕상’ 첫 수상자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을 선정했다.

광주=박성민 기자 m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