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not speed (KOR)

2021. 2. 1. 2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이하 아스트라)가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 검증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문단 회의 결과가 어제 공개됐지만 찬반 논란에 마침표를 찍지 못했다.

65세 이상 고령층에는 효과가 떨어진다는 '고령층 백신 무용론'에 대해 자문단의 다수 전문가는 만 65세 이상을 포함한 전체 대상자에게서 예방 효과가 확인됐다는 이유를 들어 아스트라 백신을 65세 이상에게도 접종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Despite the public airing Monday of the results of an advisory group's meeting at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the news is not cheering. Its members could not reach a conclusion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Despite the public airing Monday of the results of an advisory group’s meeting at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the news is not cheering. Its members could not reach a conclusion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AstraZeneca vaccines against the coronavirus.

A majority of the members of the group supported inoculation of people older than 65, citing the confirmed effectiveness of the vaccines for all age groups. But some members advised against inoculating people older than 65 with the AstraZeneca vaccines citing the need for more clinical tests for that particular age group.

That remarkable disagreement among medical professionals points to the need for a careful approach by the government from now on.

The European Commission last month recommended inoculation by AstraZeneca vaccines for all age groups above 18. But our government must pay heed to ongoing controversy over the vaccines in some parts of Europe. The Italian Medicines Agency (AIFA) advised against the use of AstraZeneca vaccines for people aged 55 and over citing their uncertain efficacy for that age group. German health authorities have recommended inoculation by the vaccines for people aged between 18 and 64. French President Emmanuel Macron went so far as to deny the effectiveness of the vaccines for people older than 65.

Our government must take into account the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already well into their vaccination programs. For vaccines, safety is more important than speed. If the government rushes to inoculate the people without considering side effects, it could fuel public distrust in Covid-19 vaccines and encourage people to shun them. That can put the government’s vaccination schedule off track.

The advisory group’s meeting was the first of three steps for the MFDS to approve vaccines for the coronavirus. Any vaccines must go through two more rounds of checking their efficacy and safety by pertinent committees. The MFDS must gather various opinions from diverse medical groups before reaching a final conclusion.

The health authority might reconsider its priority on senior citizens for vaccination. It could consider first inoculating younger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ith AstraZeneca vaccines. Despite the need to achieve herd immunity before November as the government promised, it must not treat safety issues lightly. What matters most in a government’s vaccination program is to build public trust by making decisions prudently and delivering related information transparently.

고령자에게 '아스트라 백신' 논란…안전이 최우선이다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이하 아스트라)가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 검증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문단 회의 결과가 어제 공개됐지만 찬반 논란에 마침표를 찍지 못했다.

65세 이상 고령층에는 효과가 떨어진다는 '고령층 백신 무용론'에 대해 자문단의 다수 전문가는 만 65세 이상을 포함한 전체 대상자에게서 예방 효과가 확인됐다는 이유를 들어 아스트라 백신을 65세 이상에게도 접종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반면 일부 전문가는 여전히 임상 등 추가 결과를 확인한 뒤 식약처 허가사항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위험군인 고령자에 대한 임상 자료가 부족해 예방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식약처 자문단 회의를 통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해 여전히 상당한 이견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만큼 무시할 일이 아니다.

앞서 지난달 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18세 이상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아스트라 백신 사용을 권고했지만, 유럽 국가들에서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탈리아 의약청(AIFA)은 55세 이상은 효능이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가능하면 54세까지의 성인에게 우선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독일 예방접종위원회는 18∼64세에게만 접종하라고 권고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65세 이상에게는 무효한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한국보다 앞서 백신을 접종한 이들 국가의 경험과 판단을 충분히 참고해야 한다. 백신은 접종 속도가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안전성에 논란이 생기면 백신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그러면 접종 기피자가 늘게 된다. 급기야 일정 시점까지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설정한 정부의 접종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이번 자문단 회의는 식약처가 코로나19 백신의 객관적인 허가 심사를 위해 마련한 세 단계 절차 중 첫 번째다. 이번 의견이 곧 접종 범위를 결정하지는 않는다. 오는 4일 열리는 중앙약사심의위원회와 그 이후에 있을 최종점검위원회의 논의 결과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식약처는 미리 어떤 방향으로 결론을 내지 말고 다양한 전문가의 비판적 의견을 두루 수렴해야 한다.

차제에 백신 접종 우선순위를 탄력적으로 재조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길 바란다. 모든 나라가 고령자를 우선해 접종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참고할 만하다. 활동성이 높은 2030세대에게 아스트라를 접종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접종을 서둘러 11월 말 이전에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질병관리청의 목표도 중요하지만, 일정을 기계적으로 맞추려다 백신의 안전성을 소홀히 취급해서는 안 될 것이다. 백신 행정은 국민이 안심하고 접종할 수 있도록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신중하게 결정해 신뢰를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