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아스트라제네카' 고령층 접종 가능' 발표에 의료계 "효능 입증되지 않아" 반대 목소리

장윤서 기자 2021. 2. 1. 1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달부터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될 예정이지만, 고령자 약 850만명에게는 사용하지 못할 우려가 제기되며 국민 불안이 커졌다.

반면 국내 식약처는 다수 전문가가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의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접종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약처 자문단, 아스트라 백신 고령자도 접종 권고
의협 "고령층의 경우 화이자·모더나 백신 접종해야"

사진 왼쪽부터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아스트라제네카(인도) 코로나 백신. /조선DB

이달부터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될 예정이지만, 고령자 약 850만명에게는 사용하지 못할 우려가 제기되며 국민 불안이 커졌다. 정부는 오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고령층 접종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냈지만, 일부 의료계는 접종 반대를 외치고 있다.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1일 자신의 SNS에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며, 유럽연합(EU)의 의약품청(EMA)도 55세 이상 고령자들에서 효능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으나 고령자 접종을 권유했다"며 "의협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효능과 안전성을 검토해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효능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의 경우 고령자에게서 효능이 입증되지 않아, 접종을 해서는 안된다는 게 일부 의료계 주장이다. 최대집 회장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만 18세에서 64세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접종해야 하고,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서는 접종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만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코로나19 감염시 중증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현재까지 나온 백신중 효과가 확실하고 가장 높게 입증된 화이자·모더나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앞서 FDA 허가를 받은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에 비해 고령자 임상 데이터가 부족해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국제사회에서 나왔다. 독일, 프랑스 등 일부 유럽국가들에서는 고령자를 이 백신 접종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온 바 있다. 일례로 독일 질병관리청 로베르트코흐연구소(RKI) 산하 예방접종위원회는 65세 이상에서 백신 효과가 8%에 불과했다며 "18~64세 대상으로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라"고 했다. 이 백신을 조건부 승인 권고하며 고령층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밝힌 유럽의약품청(EMA)의 입장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반면 국내 식약처는 다수 전문가가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의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접종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고령자 660명을 대상으로 예방 효과를 평가한 결과, 접종 후 감염 사례는 경증 환자 1명에 그쳤다.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들이 전연령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2109명을 대상으로 평가한 안전성 시험에서도 고령자의 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률은 65세 미만 성인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었다는 설명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고위험군인 고령자에 대한 자료가 부족해 예방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고 중화항체가가 65세 미만 성인에 비해 낮아 추가 임상 결과를 확인한 후 허가사항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소수 전문가 의견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혼란 속에서 백신 선택권 조차 없는 국민 불안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백신 선택권 조차 없는데, 고령층의 경우 문제가 발생하면 우려스럽다"는 목소리도 내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여러 종류 백신이 공급되는 상황에서, 빠른 시일 내 최대한 많은 국민에게 백신을 안전하게 접종하기 위해서는 백신 종류가 아닌 접종 순서에 따라 예방접종을 시행해 접종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추진단은 백신 접종을 일부러 거부하면, 예방 접종을 기한 내 예약하지 않을 경우엔 예방 접종 순위는 후 순위가 되는 게 원칙으로 정했다.

최 회장은 "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백신 접종은 고령자에 대한 우선적 백신 접종을 통해 사망률을 줄이자는 백신 접종 취지와 배치된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학적 증거에 근거한 합리적 결론을 기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