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선보였다는 MaaS형 서비스, 그 정체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월 31일,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가 '카카오 T 기차'를 2월 1일부터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차의 예매 및 결제, 발권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가능 한 것 외에 기차 이용 전후의 시외버스 및 택시 이용과 관련해 목적지까지 가는 전 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T동아 김영우 기자] 1월 31일,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가 ‘카카오 T 기차'를 2월 1일부터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차의 예매 및 결제, 발권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가능 한 것 외에 기차 이용 전후의 시외버스 및 택시 이용과 관련해 목적지까지 가는 전 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모든 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MaaS(Mobility as a Service)형 서비스라고 한다. 단순히 길을 안내하거나 승차권 예매만 하는 부분적인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서비스로 묶어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MaaS형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광범위한 인프라를 이미 확보하고 있는 업체가 앞장서는 방법, 혹은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는 각 업체 간의 원활한 협업을 통해 실현하는 방법이 등도 있다. 이번 카카오 T 기차의 경우, 카카오가 이미 카카오톡과 카카오 T 시외버스, 카카오 T 택시 등의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여기에 한국철도(코레일)의 협력이 더해졌다는 점이 이점으로 작용했다.
실제 카카오에서 밝힌 카카오 T 기차의 이용 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출발지와 도착지만 입력하면 기차 노선 검색 및 예매 외에도 시외버스간 환승 정보도 알려주며 탑승 전후에 택시를 바로 호출할 수 있는 카카오톡 링크도 제공한다.
그 외에 최종목적지까지 도착하기 까지의 예상시간을 제공하거나 카카오 서비스에 사전 등록한 카드로 별도의 수수료 없이 기존 기차 운임과 동일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도 강조하고 있다.
MaaS형 서비스의 미래는 밝다. 이 서비스에는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완성차 제조사는 물론, 차량 공유업체, 이동통신사, 공유 킥보드 업체 등도 이에 해당한다. 카카오 외에 현대자동차, SK텔레콤 등도 MaaS형 서비스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Copyright © IT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알쓸신IT] 자동차, 이제 살 필요가 없어진다? '마스(MaaS)'
- 끝나지 않는 논란, '넷플릭스법' 대체 뭐길래
- [월화수목급등주] 2020년 하반기 실적 모멘텀이 전망되는 종목 TOP 3 (by 이상경제TV)
-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AI 쇼핑 앱 판도 바꿀까
- 신차 출시의 장으로 꾸려진 '2025 서울모빌리티쇼' 살펴보니
- 디스프레드 “비트코인 ETF·트럼프 당선으로 신규 투자자 증가”
- [생성 AI 길라잡이] GPT-4o 이미지 생성은 왜 새삼스레 주목받는가?
- 불시에 걸려오는 스팸 전화, 수신 거부는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 [크립토퀵서치] CBDC 실거래 테스트, 개인 정보는 안전한가요?
- 퓨리오사AI, 이스트소프트와 NPU 교육을 구축하는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