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와이드] 정부, 거리두기 2.5단계 설연휴까지 2주 연장

이규엽 2021. 1. 31. 18: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연 :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김수민 시사평론가>

정부가 현행 거리두기 단계를 2주 더 연장합니다.

전국적으로 5인 이상 사적 모임이 금지돼 이번 설 연휴에는 고향이나 친지 방문, 가족 간 모임 도 사실상 어려워졌는데요.

국내 첫 백신 도입을 앞두고 코로나19의 기세를 확실히 꺾겠다는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 김수민 시사평론가와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정부가 현행 거리두기 단계를 설 연휴까지 2주 더 연장하기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연일 400명 넘게 발생하던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300명대로 줄었지만 현재 확산 양상이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거예요?

<질문 2> 정부의 거리두기 연장 조치에 따라 설 연휴까지 5인 금지 조치와 밤 9시 영업 제한은 계속되게 됩니다. 가족 친지간 방문이나 세배 등이 사실상 어렵고 직계 가족이라도 거주지가 다르면 5인 이상 모이지 못한다고 해요?

<질문 3> 방역당국은 현행 거리두기 단계는 2주 더 연장하지만, 일주일 후 다중이용시설 방역수칙 완화를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아무래도 자영업자나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큰 탓으로 보여요?

<질문 4> 최근 IM선교회를 포함해 대학병원과 요양병원, 성인오락실, 보육시설 등 다양한 업종에서 집단발병이 확인되고 있는데요. 방역당국은 아직까지 재확산 전환 국면인지 판단이 쉽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다시 유행이 시작될 우려가 있다고 볼 수도 있을까요?

<질문 5> 서울 강남구의 한 직장과 경북 안동시의 태권도장에서도 50명 안팎의 확진자가 소규모 집단감염이 전국적으로 퍼져있습니다. 감염 재생산지수도 유행 억제와 확산의 기준점인 1을 다시 넘은 상황이고 이동량이 줄지 않는 부분도 크게 신경써야하는 부분이에요?

<질문 6> 백신 접종을 앞둔 2주 정도가 코로나19 확산세를 확실히 잡기 위한 중요한 시기입니다. 다음 달이면 국내 첫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는데요. 화이자 백신 6만 여명분이 먼저 들어오죠. 정부가 올 상반기 안에 현장 의료진과 코로나19 고위험군 모두를 접종한다고 계획했는데 가능하리라 보시는지요?

<질문 6-1> 다른 나라처럼 백신 물량 부족이나 접종 속도, 혹은 유통 과정에서 무리는 없을지도 잘 살펴봐야 겠습니다?

<질문 7> 전체 인구 30%가 백신을 이미 맞은 이스라엘에서 화이자 백신이 92%에 달하는 예방 효과를 발휘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95%의 효과가 있다는 화이자 측의 예상보다는 낮지만 긍정적인 신호로 보이는데요. 국내에서도 비슷한 효과를 내리라고 보시는지요?

<질문 8>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30만 명분도 곧이어 들어오는데요. 오늘 식약처가 해당 백신 검증 자문단 회의를 열었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치 않았다며 접종을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까닭인데요. 그럼에도 유럽연합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조건부 승인한 상황입니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결론을 낼 것으로 보시는지요?

<질문 9> 전 세계에서 여러 종류의 백신이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존슨앤드존슨의 백신은 한 번 접종으로도 예방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하고요. 노바백스는 변이 바이러스에도 유의미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화이자 백신을 맞고도 코로나19에 감염됐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백신 제조사가 밝히는 예방효과를 그대로 믿을 수 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